“1억으로 서울에 내 집 마련?”…전세가 상승에 갭투자 ‘꿈틀’

뉴시스

입력 2020-11-16 15:56 수정 2020-11-16 15:58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54.2%…2개월 연속 상승
2016년 6월 이후 처음…전세가율↑ 매매부담↓



“무주택 장모님입니다. 여유자금은 1억원~1억5000만원입니다. 갭투자 할 만한 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2~3년 안에 결혼을 앞두고 있습니다. 지금이라도 집을 마련해야 할 것 같은데 청약은 가점이 낮아 안 될 것 같고, 갭투자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디에 하면 좋을까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이 지속적으로 강세를 보이면서 전셋값과 매맷값의 차이가 줄어들고 있다. 이 틈을 파고 이른바 ‘갭투자’(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것)가 다시 고개를 드는 모양새다.

16일 KB부동산 리브온의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54.2%로 2개월 연속 상승했다. 전세가율은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로 전세가율이 높을수록 매매에 대한 부담이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서울 전세가율은 지난 8월 53.3%에서 9월 53.6%로 0.3%포인트(p) 상승한 뒤 지난달 0.6%p 오른 54.2%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이 2개월 연속 상승한 건 지난 2016년 6월 이후 처음이다.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율도 상승세다.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율은 8월 63.9%에서 9월 64.7%, 지난달 65.5%로 상승했다.

전세가율이 이처럼 상승하면서 자극을 받은 부동산 시장은 바로 갭투자다. 훨씬 적은 돈으로 전세를 끼고 집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최근 부동산 관련 온라인 카페에는 갭투자로 괜찮은 지역과 매물을 묻는 질문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전셋값과 매맷값 급등으로 불안감을 느끼는 무주택 실수요자와 젊은 세대가 눈에 띈다.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이날기준 최근 3개월(9월~11월) 서울에서 갭투자는 295건 진행됐다. 서울의 경우 지난 6·17대책을 통해 전세대출로 집을 사는 것을 제한하고 7·10대책으로 다주택자의 세금 부담을 크게 늘리면서 갭투자는 감소하는 추세지만, 여전히 투자자에게 서울은 매력적인 투자처였다.

이 중 갭투자가 가장 많이 진행된 구는 노원구로 38건이다. 갭이 가장 적은 매물은 공릉동에 위치한 삼익아파트 전용 51.03㎡로 1억500만원이다. 이곳은 지난 9월1일 3억2000만원에 팔린 뒤 새로운 집주인과 세입자가 지난달 22일 2억1500만원에 전세계약을 맺었다. 1억500만원으로 3억2000만원짜리 아파트를 샀다는 의미다.

경기도의 경우 비규제지역인 김포와 파주에서 갭투자가 가장 많았다. 각각 94건, 88건으로 집계됐다. 비규제지역은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70%까지 가능하고, 2주택자도 취득세가 1~3%로 낮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관심을 두는 곳이다.

김포 풍무동 당곡마을 월드메르디앙(전용 80㎡)의 경우 매맷값과 전셋값이 2억3500만원으로 갭이 없었다. 9월8일에 팔린 매맷값과 그 다음달 31일에 계약된 전셋값이 같았기 때문이다. 취득세 정도의 세금과 부동산 중개수수료 등의 비용만 든 셈이다.

파주에서는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을 역전하는 경우도 나왔다. 파주 다율동 청석마을 동문굿모닝힐(전용 84.88㎡)은 지난 8월21일 2억2000만원에 팔렸는데, 지난달 15일 2억3000만원에 전세 세입자를 들였다. 금촌동 쇠재마을 뜨란채 5단지(전용 59.06㎡)도 매매가와 전세가가 각각 1억6400만원(9월7일), 1억7000만원(10월8일)으로 600만원의 갭이 발생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들은 수도권 비규제지역이나 광역시를 중심으로 갭투자가 성행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포 풍무동 A공인 대표는 “매스컴에서 김포가 나온 이후 손님들의 발길이 끊일 줄 알았지만 지금도 계속해서 문의 전화와 방문이 이어지고 있다”며 “통상 전세 낀 물건이 바로 입주가 가능한 매물보다 싼 데다 전셋값도 오르고 있어 갭투자 물건을 찾는 사람들은 계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