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구는 신이 준 마지막 선물” 77세에 드라이브 날리는 비결은?[양종구의 100세 시대 건강법]
양종구 기자
입력 2020-10-24 14:00:00 수정 2021-01-23 09:47:10

‘100세 인생(The 100-Year Life)’ 이란 책을 쓴 린다 그래튼(Lynda Gratton)과 앤드루 스콧(Andrew Scott)이 주장한 것이다. 길어진 삶에 적극적으로 준비하지 않으면 고통스런 삶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올해로 만 77세인 이승자 씨는 10년 전 탁구에 입문해 ‘슬기로운 노년생활’을 즐기고 있다. 탁구를 친구 삼아 즐겁고 활기차게 삶을 가꿔 나가고 있다.
“2010년 12월이었다. 경기도 고양 일산노인종합복지관을 찾았다가 탁구를 시작했다. 당초 풍물을 배우려고 차례를 기다리고 있으면서 같은 층 탁구장에서 탁구 치는 사람들을 창문으로 지켜보고 있었다. 탁구 총무님이 들어오라고 했고 ‘한번 쳐보실래요?’라고 하며 탁구채를 건넨 게 내 인생을 바꿨다. 총무님이 잘 친다며 탁구부 가입을 권유했고 건강을 위해 운동도 해야 해서 탁구를 시작했다.”

탁구가 주는 재미가 좋았다. 상대가 있고 공을 넘기며 다양한 기술을 쓸 수도 있었다. 몸에 크게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운동량도 상당했다. 무엇보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사시사철 칠 수 있어 좋았다. “처음엔 4,5 시간씩 쳐도 시간 가는 줄 몰랐다”는 이 씨는 지금도 매일 3시간 이상 탁구를 치고 있다. 과거 테니스와 배드민턴, 등산, 헬스도 했지만 이렇게 애정을 가지고 집중적으로 하진 않았다.
탁구를 시작할 즈음 복지관에서 자원봉사를 하고 있던 대우증권탁구단(현 미래에셋대우) 감독 출신인 김병승 전 대한탁구협회 부회장(76)을 만난 것도 또 다른 행운이었다. 김 전 부회장은 이 씨의 가능성을 보고 체계적으로 훈련시켰고 젊은 사람들도 하기 힘든 드라이브까지 걸 수 있게 만들었다. 김 전 부회장은 “내가 복지관 자원봉사를 그만 둘 경우 탁구를 지도할 사람이 필요했다. 열심히 하시는 분들 중에서 남자 1명, 여자 4명을 선발해 훈련시켰는데 그 중에 이승자 씨도 있었다”고 말했다. 이 씨는 탁구를 시작한 뒤 6개월만인 2011년 5월 고양시장기탁구대회에 출전해 실버 여자3부에서 3위를 차지했다.

이 씨는 파워 넘치는 남자 엘리트 선수들 경기 영상을 보며 훈련한다. 그는 “남자 선수들 드라이브를 보면 정말 멋있다. 그래서 따라 하려고 하다보니 실력이 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전 부회장은 “이 씨는 남자 못지않게 탁구를 친다. 솔직히 같은 연령대 남자들도 드라이브를 못 건다. 젊은 여자들도 잘 못한다. 정말 대단한 파워다”고 말했다.

이 씨는 “노안으로 돋보기를 썼었는데 탁구 친 뒤부터는 돋보기 없이 신문을 보고 있다”며 시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고 했다. 실제로 탁구는 시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김 전 부회장의 설명이다.
“274cm, 152.5cm 테이블 위에서 15.25cm 높이의 네트를 사이에 두고 지름 3.72~3.83cm작은 공을 치다보니 시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된다. 또 빠른 공의 움직임에 반응하며 탁구채를 휘두르기 때문에 좌우 뇌에 큰 자극이 돼 치매 예방에도 좋다. 바닥에 떨어진 볼을 줍는 것도 상당한 운동이 된다. 겉으로 보기엔 별로 안 움직이는 것 같은데 포핸드 백핸드 할 때 전신운동이 된다. 탁구는 최고의 실버스포츠다.”
100세 시대를 살아갈 때 스포츠는 좋은 ‘평생 친구’가 될 수 있다. 김병준 인하대 교수(스포츠심리학)는 “특정 스포츠를 즐기면 늘어난 시간을 잘 활용하면서 건강도 챙길 수 있어 ‘일석이조’다”고 말했다. 특히 삶의 태도도 달라진다. 김 교수는 “이승자 선생님은 드라이브까지 날리는 것을 보면 스포츠 심리학적으로 운동을 하는 내적동기의 최고 수준인 감각체험까지 이른 것 같다. 몸을 움직이면서 수준 높은 기술을 발휘하며 큰 자부심을 느낄 것”이라고 했다. 김 교수는 “스포츠를 즐기면서 기능이 향상되고 그런 발전 된 모습에 주변 사람들의 칭찬까지 받으면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더 노력한다. 이 선생님이 탁구에 애착을 가지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 씨는 “이제 탁구는 내 삶의 중요한 일부분이 됐다. 건강을 위해 뭐든 해야 했는데 탁구를 선택한 게 행운이었다. 몸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건강도 챙길 수 있고 사람들과도 어울릴 수 있는 최고의 스포츠다. 힘이 닿는 데까지 칠 것”이라고 말했다. 그의 목표는 ‘선수’다. 엘리트 선수가 아니라 더 잘하기 위해 노력하는 ‘선수’가 되는 것이다. 이 씨는 “목표가 없으면 재미도 의미도 없다. 신이 준 마지막 선물이라고 생각하고 평생 탁구를 칠 생각”이라며 활짝 웃었다.
양종구 기자 yjongk@donga.com
비즈N 탑기사
- 하니♥양재웅, 열애 인정 “좋은 만남 갖고 있어”
- “조유나양 아버지, 가상화폐 투자 뒤 큰 손해”
- “젖병에 꽁초 가득”…담뱃값 경고 그림, 더 끔찍하게 바꾼다
- “이걸 두고 월북을?”…서해 공무원측 ‘무궁화10호’ 방수복 공개
- 바이든, 자전거 타다 ‘꽈당’… 몸상태 묻자 ‘깡충깡충’
- “수험생 공부 중입니다”…尹자택 앞 맞불집회 이틀째 현수막 내걸려
- “한국인과 너무 닮아, 가슴철렁” 필리핀서 땅콩파는 코피노 소년
- 마지막 ‘버핏과의 점심’ 경매, 59억원 기록 깰까
- “71년前 태극기 건네준 한국 해병전우 찾습니다”
- 96세 英여왕 “국민 계속 섬길것” 재위 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