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말 가구당 순자산 4.6억…부동산 비중 76% ‘쏠림 여전’

뉴스1

입력 2020-07-21 12:07 수정 2020-07-21 12:07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뉴스1

지난해 말 우리나라 가구당 순자산이 2018년 말(4억3838만원)보다 5.5% 늘어난 4억6268만원으로 나타났다. 토지와 건물 등 부동산가격이 올라 비금융자산이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가구당 자산 중 부동산(주택+비주택) 비중은 76%를 차지해 쏠림 현상이 이어졌다. 이는 2018년 77.2%보다는 소폭 떨어진 수준이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19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을 보면 지난해 말 우리나라 전체 자산을 의미하는 국민순자산(國富)은 1경6041조5000억원으로 지난 2018년 말 1경5563조8000억원보다 1057조7000억원(6.8%)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순대외금융자산이 늘어났고, 토지자산을 중심으로 비생산자산이 증가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은 해외 직접투자와 증권투자로 구성된다. 지난해 말 순금융자산은 전년 말(487조7000억원)보다 92조3000억원 증가한 580조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가구당 순자산은 4억6268만원으로 전년 말(4억3838만원)보다 5.5% 증가했다. 다만 한은과 통계청은 가계부문만 별도로 집계하고 있지 않아 가구당 순자산 규모를 추정치를 발표한다. 한은은 가계 및 비영리단체(종교단체, 노동조합, 학술단체 등)의 순자산(9307조원)을 지난해 추계가구(2011만6000호) 수로 나눠서 4억6268만원을 도출했다.

국민대차대조표는 일정 시점에서 국민경제의 실물자산과 금융자산, 부채 규모와 증감을 기록한 통계다. 이번 국민대차대조표는 2015년을 기준년으로 작성됐다.

국민순자산을 부문별로 보면 비금융자산이 1경6041조5000억원, 순금융자산 580조원, 금융자산 1경7213조1000억원, 금융부채 1경6633조1000억원이었다. 국민순자산은 명목 국내총생산(1919조원) 대비 8.7배로 전년 말 8.2배보다 증가했다.

부동산 가격 상승이 국민순자산 증가를 이끌었다. 비금융자산 중 생산자산은 지난해 말 7221조5000억원으로 전년대비 422조7000억원(6.2%) 늘어났으며 비생산자산은 8820조원으로 542조7000억원(6.6%) 증가했다. 생산자산 중에선 건설자산이 전년 말보다 309조7000억원(6.1%) 늘었고, 비생산자산 중에선 토지자산이 전년말 대비 541조4000억원(6.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 관계자는 “집값 상승으로 토지자산 등 상승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비금융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만 보면 토지 비중은 지난 2013년 53.2%로 저점을 기록한 후 지가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말 54.7%까지 확대됐다. 건물 비중도 2015년 20.7%를 기록한 이후 2016년 20.9%, 2017년 21%, 2018년 21.3%, 지난해 21.4%로 매년 상승했다.

지난해 말 GDP대비 토지자산의 비율은 4.6배를 기록하며 전년 말 4.3배보다 상승했다. 이는 1995년 통계편제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다만 토지자산 중에선 수도권 비중이 증가했다. 토지자산의 수도권 비중은 2012년 세종시 출범, 2013년 이후 지방 혁신도시 개발 등으로 완화됐다가 2018년에는 증가(56.9%)로 전환했다. 토지자산 중 수도권 비중은 지난해 자료가 집계되지 않아 2018년 기준이다.

경제주체별 순자산 규모는 지난해 말 가계 및 비영리단체 9307조1000억원(비중 56.0%), 일반정부 4390조7000억원(26.4%), 비금융법인기업 2553조6000억원(15.4%), 금융법인기업이 370조1000억원(2.2%)순이었다. 지난해 금융법인의 순자산 규모가 전년대비 19.1% 증가하면서 일반정부 7.8%, 가계 및 비영리단체 6.8%, 비금융법인 3.5%보다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뉴스1)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