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경기 살리고 코로나 위기 극복” 부산 ‘동북아 해양도시’로 발돋움

조용휘기자

입력 2020-07-15 03:00 수정 2020-07-15 03:00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올 한해 3대 주요 현안

부산 대(大)개조 사업의 핵심이 될 부산철도차량정비단 전경. 부산시는 도시를 단절시킨 이 시설을 도시 외곽 지역으로 옮긴 후 부산의 미래를 위한 공간으로 개발하기 위해 용역을 실시하고 있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시민생활과 관련성이 높은 ‘코로나19 위기극복’과 ‘경제 활력 제고’를 최우선 과제로 시정역량을 집중한다. 특히 코로나19의 지역사회 내 감염 차단과 성공적인 방역이 곧 경제위기 극복이란 차원에서 3단계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1단계 내수경기 활성화, 2단계 제조업체 안정화, 3단계 코로나19 부산 3대 산업 육성이 그것이다.

내수경기 활성화를 위해 지역 화폐인 ‘동백전’을 발행해 소비 촉진에 나서고 있다. 직격탄을 맞고 있는 관광·마이스 분야 회복을 위해 숙박료 할인과 여름휴가 프로모션 등을 추진한다. 제조업체 정상화를 위해 정책자금, 수출 보험료를 지원하고 대체시장 발굴 등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 소재부품산업 국산화 연구개발(R&D)에 주력하고 있다. 비대면 온라인 언택트 산업과 디지털 기반 스마트 산업, 헬스·방역산업도 육성한다.

이와 함께 동북아 해양수도의 위상을 높여줄 3대 주요 현안사업에 힘을 쏟는다. 3대 현안은 24시간 안전한 동남권 관문공항, 2030 월드엑스포 유치, 부산 대개조 사업이다.

가덕도에 김해신공항 건설 추진

시는 김해신공항(김해공항 확장안)에 대한 국무총리실 검증위원회의 검증 결과 발표가 임박하자 지역사회와 힘을 합하고 있다. 부산 울산 경남이 바라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결론 도출을 위해서다. 시는 검증 결과 발표 후 후속 조치도 발 빠르게 준비해 대체입지가 신속하게 선정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이와 관련해 “국무총리실 김해신공항 검증위원회의 역할은 2018년 국토교통부의 김해신공항 기본계획에 대한 기술검증”이라고 말했다. 검증 결과 발표에 국토부의 보완대책 등이 담기는 식의 결론이 나오면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변 권한대행은 5월 말 정세균 국무총리를 만나 검증위는 객관적인 기술검증 내용만 발표해야 한다고 요청하기도 했다. 국가사업으로 확정된 2030 부산월드엑스포 유치를 위해서도 동남권 관문공항이 필수이고 최적의 입지는 ‘가덕도’라는 게 그의 입장이다.

김해신공항안 검증 문제는 안전, 환경, 소음, 항공수요 등 4개 분과별 검증이 마무리 단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빠르면 이달 안, 늦어도 다음 달 결과 발표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월드컵, 올림픽과 함께 지구촌 3대 메가 이벤트로 불리는 2030 부산월드엑스포는 지난해 국가사업으로 확정됐다. 공식 유치신청 서류는 2022년 상반기 중 국제박람회기구(BIE)에 제출한다. 유치 여부는 BIE의 현지실사와 2023년 11월경 파리 BIE 정기총회에서 170개국 회원국의 투표로 최종 결정된다. 2030년 월드엑스포 유치에는 러시아 프랑스 아제르바이잔 등 6, 7개국이 도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2030 월드엑스포 유치에도 총력

BIE가 인정하는 공식 박람회는 ‘등록엑스포’와 ‘인정엑스포’ 등 두 종류다. 부산이 유치할 박람회는 국내에서 열린 적이 없는 등록엑스포다. 1993년 대전, 2012년 전남 여수에서 열린 엑스포는 인정엑스포다. 시는 엑스포 유치가 확정되면 2030년 5∼10월 부산항 북항 일원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160여 개국 5000만 명의 참가가 예상된다. 경제 효과는 생산유발 효과 약 43조 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 약 18조 원, 고용창출 효과 약 50만 명으로 예측한다.

부산 대개조 사업은 철도, 항만 등 국가 기간시설로 단절된 도시 구조를 바꿔 접근성과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게 목표다. 경부선 철로 지하화와 북항 통합개발로 원도심을 재생하는 것이 핵심이다. 시는 지은 지 115년 된 경부선 철로 부산 도심 구간을 지하화하고 폐쇄된 선로 터를 활용하기 위해 최근 용역에 착수했다. 내년 6월까지 진행되는 용역은 시설 효율화 방안과 철도시설 유휴부지 활용, 주변 지역 도시재생 종합계획 수립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내년 예비타당성 조사, 2022년 기본계획·기본설계, 2023년 실시설계를 거쳐 2024년 착공할 계획이다. 2028년까지 경부선 선로 지하화가 목표다.

조용휘 기자 silent@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