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국제갈등 중심 선 틱톡, 홍콩 버리고 美·印에 구애”

뉴시스

입력 2020-07-08 11:25 수정 2020-07-08 11:27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인도, 틱톡 접속 차단…美도 사용금지 검토 중
틱톡, 보안법 논란 홍콩서 자진 철수 발표
거대 시장 미국·인도 잡으려 홍콩 버리는 전략



전 세계 10·20대가 열광하는 동영상 공유 애플리케이션(앱) 틱톡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국제사회에서 반중 정서가 짙어지는 상황에서 중국 기업 소유 소셜미디어(SNS)인 틱톡을 둘러싸고 보이콧 움직임이 일고 있어서다.

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JS)은 미중 갈등 속에서 균형을 잡으려는 틱톡의 자구책을 보도했다. 틱톡이 홍콩 시장을 버린 건 중국과의 거리두기를 과시해 미국·인도 시장에 매달리려는 목적이라고 WSJ은 분석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6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틱톡 사용 금지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13억 인구 인도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겠다면서 틱톡을 포함한 중국산 앱 접속을 차단했다. 중국과 국경 분쟁이 벌어져 인도군 수십명이 사망한 이후 나온 조치다. 인도에서는 중국산 물품 및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 화형식이 벌어질 정도로 중국을 향한 분노가 격화한 상황이다.

인도는 틱톡 최대 시장 중 하나이며, 틱톡 다운로드 건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케빈 메이어 틱톡 최고경영자(CEO)는 인도 당국에 서한을 보내 틱톡이 인도 경제에 기여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와 정보를 공유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국가보안법(보안법) 통과 이후 사실상 중국 정부가 사법권을 관할하게 된 홍콩의 경우 틱톡 스스로 철수하겠다고 발표했다.

틱톡이 국제갈등의 중심 이슈로 떠오른 건 엄청난 영향력 때문이다. 시장조사업체 센서타워에 따르면 틱톡은 올해 상반기 미국에서 두번째로 많이 다운로드된 앱이었다. 첫번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서 급부상한 화상회의 앱 ‘줌’이었다.

이 기간 틱톡 신규 이용자 수를 국가별로 보면 인도와 브라질에 이어 미국이 세번째로 많았다.

틱톡 대변인은 미국인 CEO를 뒀으며 미국에서 수백명을 고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사용자를 위해 안전한 앱 환경을 보장하는 일보다 중요한 건 없다”고 밝혔다.

앞서 틱톡은 중국 정부에 이용자 데이터를 제공한 적이 없고, 설사 요청이 있다 해도 거부할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틱톡 모기업이 중국 베이징에 본사를 둔 바이트댄스라는 점에서 이 같은 주장은 설득력을 얻지 못하고 있다.
줄리엔 차이세 홍콩성시대 법학 교수는 틱톡을 비롯한 거대 정보기술(IT) 기업과 관련해 “기업들이 정치적 이슈를 무시하고 운영할 수 있던 황금시대는 지났다”고 말했다. 그는 “그들은 이제 어디로 갈지, 얼마나 타협할지 선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WSJ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에 사활을 건 틱톡은 중국과 거리를 두려고 노력해왔다. 본사를 중국 밖으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5월에는 디즈니에서 경력을 쌓은 케빈 메이어를 CEO로 영입했다.

이런 상황에서 홍콩 서비스를 종료한 건 중국 본거지와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 시장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려는 시도라고 WSJ은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등은 전처럼 서비스를 제공하되 사용자 정보를 홍콩 당국에 주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틱톡은 왜 다른 동종 업체들보다 적극적인 조치를 했는지와 관련해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이를 두고 홍콩 입법회 의원 찰스 목은 틱톡의 편리한 전략이라고 봤다. 홍콩을 포기함으로써 중국과의 결별을 강조해 미국·인도 정부를 설득하려 한다는 분석이다.

그는 “미국과 인도는 틱톡이 잃고 싶지 않은 거대 시장이다. 홍콩은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홍콩이 틱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도 되지 않는다. 반면 인도의 틱톡 다운로드 건수는 6억6000만건을 넘었다고 WSJ은 전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자택대기 조치에 따라 틱톡 인기가 높아진 6월 미국에서 750만명이 틱톡을 내려받았다. 반면 같은 기간 홍콩에서 기록된 다운로드 건수는 7만3000건에 그쳤다. 틱톡 관계자는 홍콩에서 나는 수익은 없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