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주 고려대 구로병원 교수 “뇌사자-심정지 환자 장기 기증 늘려야”

김상훈 기자

입력 2020-03-07 03:00 수정 2020-03-07 05:10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유럽은 사후 기증자 상당히 많아… 한국도 법 정비-사회적 동의 필요

권영주 교수(왼쪽 사진)와 김동식 교수.
장기 이식 분야에 한해서는 첨단 기술도 좋지만 장기 기증 활성화가 더 현실적인 해법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뇌사자의 장기 기증을 더 활성화하고, 나아가 심장이 멈춰 사망한 사람들의 장기 기증 방안을 물색해야 한다는 것.
권영주 고려대 구로병원 신장내과 교수(58)는 “뇌사자뿐 아니라 병원 내에서 사망해 심장 기능이 정지된 환자의 경우 사전에 본인과 가족의 동의가 있었다면 사후에 곧바로 장기를 적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 교수는 신장 이식을 비롯해 만성 콩팥 질환의 베스트 닥터로 평가받는다. 현재 고려대 구로병원 장기이식센터의 센터장을 맡고 있다.

권 교수에 따르면 아직 국내에는 이와 관련된 법령이 완벽하게 정비돼 있지 않다. 윤리적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가령 심장이 멈춘 환자의 경우 어느 시점을 ‘사망’으로 규정할 것이냐에 대한 사회적 동의가 필요하다는 것. 사망 선고 시점을 조금 늦추면 장기는 쓸 수 없게 된다. 하지만 유족의 정서를 감안하면 너무 이른 시점에 사망 선고를 내릴 수도 없다.

권 교수는 “유럽에서는 뇌사자뿐 아니라 이런 식의 심정지 환자의 사후 장기 기증자가 상당히 많다. 영국은 뇌사자와 심정지 환자의 장기 기증 비율이 3 대 2 정도다”라며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논의를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 교수는 일단 병원 내 사망 환자에 대해 제도 도입을 검토할 것을 제안했다. 권 교수는 “대한이식학회 차원에서의 논의는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동식 고려대 안암병원 교수 “장기 손상없이 운송할 시스템도 필수” ▼


외국, 장기에 펌프 연결 인공피 공급…이동중 손상 막아 이식 성공률 높여

기증받을 장기가 나왔다 하더라도 제때 이식 대상자에게 전달되지 못하면 기증자의 숭고한 뜻을 이룰 수 없다. 따라서 장기 확보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장기를 최고의 상태로 옮기고 이식 성공률을 높이는 것이다.

김동식 고려대 안암병원 간담췌외과 교수(50)는 “예전에는 장기 적출 후 원거리를 이동할 경우 장기가 손상되기도 했다. 그런 걱정 없이 장기를 운송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고려대의료원 통합 간이식팀장과 안암병원 장기이식센터장을 맡고 있다. 고위험 환자의 장기 이식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김 교수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의 경우 10여 년 전부터 적출한 장기에 펌프를 연결해 인공 혈액을 공급하는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생존자의 몸 안에 있을 때처럼 혈액과 산소, 영양을 장기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 이를 통해 장기의 손상을 막음으로써 이식 성공률을 높인다. 외국에서는 가장 먼저 신장에 이 장비를 적용했고 3, 4년 전부터는 간, 폐 등의 장기에도 도입했다. 국내에는 관련법이 정비되지 않아 도입되지 않고 있다.

김 교수는 이식 수술 후 면역 거부 반응 문제에 대해서도 긍정적 전망을 피력했다. 기존 약들은 몸 전체의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이를 막기 위해 해당 장기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해 면역 거부 반응 문제를 해결하는 약이 개발되고 있다. 김 교수는 “면역 거부 문제만 해결하면 이식된 장기가 성공적으로 안착하게 돼 합병증을 줄이고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김상훈 기자 corekim@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