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명 의인 찾아 표창-상금 전달
허동준 기자
입력 2019-11-29 03:00:00 수정 2019-11-29 03:00:00
LG그룹

LG복지재단은 “국가와 사회정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한 의인에게 기업이 사회적 책임으로 보답한다”는 고 구본무 회장의 뜻을 반영해 2015년 9월 첫 ‘LG 의인상’을 수여한 이후 현재까지 총 116명의 의인에게 의인상을 수여했다.
LG복지재단은 수여자의 생업 현장에서 조용하게 표창과 상금을 전달하고, 치료 등 급박한 상황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원 과정을 일주일 내로 신속하게 진행한다.
의인상 첫 수상자인 고 정연승 특전사 상사는 2015년 9월 교통사고를 당한 여성을 구하려다 신호 위반 차량에 치여 목숨을 잃었다. 유가족에게는 1억 원의 위로금이 전달됐다. 수상자 중에는 2017년 2월 경북 군위군 주택 화재 현장에서 치솟는 불길 속으로 뛰어들어 할머니를 구해낸 스리랑카 출신 근로자 니말 씨, 같은 해 6월 서울 강남구 역삼역 인근 도로에서 여성에게 흉기를 휘두르는 남성을 제압해 피해자의 생명을 구한 최고령 수상자 82세 김부용 씨도 있다. 이처럼 의인들은 소방관 14명, 해양경찰 10명, 경찰 9명, 군인 11명 등 ‘제복 의인’부터 얼굴도 모르는 이웃을 위해 위험을 무릅쓴 우리 사회 평범한 이웃까지 다양했다.
LG는 의인상 외에도 우리 사회의 귀감이 된 의인들을 꾸준히 지원해왔다. 대표적으로 2013년 4월 바다에 뛰어든 시민을 구하려다 희생된 인천 강화경찰서 소속 고 정옥성 경감 유가족에게 5억 원의 위로금과 자녀 3명의 학자금 전액을 지원했다. 당시 고 구본무 회장은 최고경영진들과 버스를 타고 천안에 위치한 LG전자 협력회사를 방문하던 길에 정 경감의 안타까운 소식을 듣고 함께 있던 CEO들과 논의해 위로금을 전달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도 2017년 9월 강원도 철원에서 발생한 총기 사고로 숨진 이모 상병의 유가족에게 사재로 위로금 1억 원을 전달했다. 당시 구 회장은 이 상병의 아버지가 빗나간 탄환을 어느 병사가 쐈는지 밝히거나 처벌하는 것을 절대 원하지 않는다는 말을 듣고 “아버지의 깊은 배려심과 의로운 마음을 우리 사회가 함께 생각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허동준 기자 hungry@donga.com

LG복지재단은 “국가와 사회정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한 의인에게 기업이 사회적 책임으로 보답한다”는 고 구본무 회장의 뜻을 반영해 2015년 9월 첫 ‘LG 의인상’을 수여한 이후 현재까지 총 116명의 의인에게 의인상을 수여했다.
LG복지재단은 수여자의 생업 현장에서 조용하게 표창과 상금을 전달하고, 치료 등 급박한 상황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원 과정을 일주일 내로 신속하게 진행한다.
의인상 첫 수상자인 고 정연승 특전사 상사는 2015년 9월 교통사고를 당한 여성을 구하려다 신호 위반 차량에 치여 목숨을 잃었다. 유가족에게는 1억 원의 위로금이 전달됐다. 수상자 중에는 2017년 2월 경북 군위군 주택 화재 현장에서 치솟는 불길 속으로 뛰어들어 할머니를 구해낸 스리랑카 출신 근로자 니말 씨, 같은 해 6월 서울 강남구 역삼역 인근 도로에서 여성에게 흉기를 휘두르는 남성을 제압해 피해자의 생명을 구한 최고령 수상자 82세 김부용 씨도 있다. 이처럼 의인들은 소방관 14명, 해양경찰 10명, 경찰 9명, 군인 11명 등 ‘제복 의인’부터 얼굴도 모르는 이웃을 위해 위험을 무릅쓴 우리 사회 평범한 이웃까지 다양했다.
LG는 의인상 외에도 우리 사회의 귀감이 된 의인들을 꾸준히 지원해왔다. 대표적으로 2013년 4월 바다에 뛰어든 시민을 구하려다 희생된 인천 강화경찰서 소속 고 정옥성 경감 유가족에게 5억 원의 위로금과 자녀 3명의 학자금 전액을 지원했다. 당시 고 구본무 회장은 최고경영진들과 버스를 타고 천안에 위치한 LG전자 협력회사를 방문하던 길에 정 경감의 안타까운 소식을 듣고 함께 있던 CEO들과 논의해 위로금을 전달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도 2017년 9월 강원도 철원에서 발생한 총기 사고로 숨진 이모 상병의 유가족에게 사재로 위로금 1억 원을 전달했다. 당시 구 회장은 이 상병의 아버지가 빗나간 탄환을 어느 병사가 쐈는지 밝히거나 처벌하는 것을 절대 원하지 않는다는 말을 듣고 “아버지의 깊은 배려심과 의로운 마음을 우리 사회가 함께 생각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허동준 기자 hungry@donga.com
비즈N 탑기사
- 하니♥양재웅, 열애 인정 “좋은 만남 갖고 있어”
- “조유나양 아버지, 가상화폐 투자 뒤 큰 손해”
- “젖병에 꽁초 가득”…담뱃값 경고 그림, 더 끔찍하게 바꾼다
- “이걸 두고 월북을?”…서해 공무원측 ‘무궁화10호’ 방수복 공개
- 바이든, 자전거 타다 ‘꽈당’… 몸상태 묻자 ‘깡충깡충’
- “수험생 공부 중입니다”…尹자택 앞 맞불집회 이틀째 현수막 내걸려
- “한국인과 너무 닮아, 가슴철렁” 필리핀서 땅콩파는 코피노 소년
- 마지막 ‘버핏과의 점심’ 경매, 59억원 기록 깰까
- “71년前 태극기 건네준 한국 해병전우 찾습니다”
- 96세 英여왕 “국민 계속 섬길것” 재위 의지
- 테슬라 정비매뉴얼 공개! 내 차 수리절차는?
- 사무실 부족한 ‘벤처 1번지’ 테헤란로… 성수-서초-송파로 확장을
- 中내 한국기업 88% ‘코로나 봉쇄’ 피해… 탈중국 고심
- 대출규제에 급전 수요 몰려… 카드결제 미룬 ‘리볼빙’ 역대 최대
- “전기료 5원 올려도 한전 적자해소 역부족”… 물가 압박은 커져
- 재단장 삼청각, 공연-전시 날개 달았다
- [머니 컨설팅]1주택 직장인, 오피스텔 취득때 종부세는?
- 젊은 도시 ‘핫’한 동탄… 소비수준 높아 마트 전쟁도 뜨거워
- 50세 미만 성인 10명 중 3명은 부모와 동거…비혼으로 독립 지연
- 현대차 ‘아이오닉 6’ 디자인 최초 공개… “기술과 미학의 감성적 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