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2명 중 1명 ‘만성피로증후군’ 겪는다
뉴시스
입력 2019-11-04 08:26:00 수정 2019-11-04 08:26:26
많은 업무량이 주원인...절반 이상은 '업무에 차질을 주는 수준'으로 심각

직장인 2명 중 1명은 충분한 휴식을 취해도 피로감을 느끼는 ‘만성피로증후군’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직장인 1437명을 대상으로 ‘직장인 증후군’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직장인 절반 이상(56%, 복수응답)이 ‘만성피로증후군’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계속해서 ▲열정적으로 일하던 사람이 극도의 정신적 및 육체적 피로로 무기력해지는 번아웃증후군(38.2%)을 겪었다는 응답이 바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는 ▲현 직장에 만족하지 못하고 새로운 이상을 꿈꾸는 파랑새증후군(34.5%), ▲ 입사 후 3개월 단위로 이직이나 퇴사를 심각하게 고려하는 3.6.9 증후군(30%), ▲ 항상 밝은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강박으로 겉으론 웃지만 내면은 우울한 스마일마스크증후군(18.1%), ▲ 뚜렷한 이유 없이 직장 일에 불만을 갖는 증상 사춘기증후군(15.9%), ▲ 사무실에서는 두통이나 현기증을 느끼다가 밖으로 나가면 증상이 사라지는 빌딩증후군(13.9%) 등을 겪고 있었다.
직장인 증후군의 심각도에 대해서는 ‘업무에 차질을 주는 수준’이 55.2%로 과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러한 증후군을 겪는 원인으로는 ‘많은 업무량’(41.5%,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소통 부족’(25.4%), ‘본인 성격’(24%), ‘건강관리 부족’(23.9%), ‘과도한 근무시간’(21.7%), ‘수직적 조직문화’(21.1%), ‘성과 압박’(19.3%) 등을 이유로 들었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직장인 증후군’을 극복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
‘충분한 휴식을 취한다’(48.2%, 복수응답)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여행, 취미 등 기분 전환 계기를 찾는다’(47.2%)가 바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이직을 준비한다’(33.2%), ‘운동 등으로 체력을 키운다’(26.3%), ‘가족이나 주변사람과 고민을 공유한다’(25.4%), ‘명상 등 마인드컨트롤을 한다’(12.3%)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위의 증후군 증상으로 전문가 상담이나 치료를 받은 응답자는 6.7%였다.
또, 재직중인 회사에서 증후군을 벗어나는데 도움을 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있다는 응답자는 8.6%에 불과해 ‘직장인 증후군’을 극복하기 위한 최소한의 제도적 지원도 받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인들은 현재 직장생활 만족도를 평균 53.8점으로 평가해 낙제를 겨우 면한 수준이었다.
이들이 직장생활에 불만족하는 부분으로는 ‘연봉수준’(56.3%, 복수응답), ‘복리후생’(35.8%), ‘조직 분위기’(27.2%), ‘업무 영역’(24.3%), ‘성과에 대한 인정’(21.4%), ‘정시퇴근 등 근무환경’(20.9%) 등이 있었다.
직장생활에 만족하는 부분으로는 ‘정시퇴근 등 근무환경’(37.7%, 복수응답), ‘조직 분위기’(21.6%), ‘대인관계’(18.6%), ‘연봉수준’(14.5%) 등을 꼽았다.
【서울=뉴시스】

직장인 2명 중 1명은 충분한 휴식을 취해도 피로감을 느끼는 ‘만성피로증후군’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직장인 1437명을 대상으로 ‘직장인 증후군’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직장인 절반 이상(56%, 복수응답)이 ‘만성피로증후군’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계속해서 ▲열정적으로 일하던 사람이 극도의 정신적 및 육체적 피로로 무기력해지는 번아웃증후군(38.2%)을 겪었다는 응답이 바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는 ▲현 직장에 만족하지 못하고 새로운 이상을 꿈꾸는 파랑새증후군(34.5%), ▲ 입사 후 3개월 단위로 이직이나 퇴사를 심각하게 고려하는 3.6.9 증후군(30%), ▲ 항상 밝은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강박으로 겉으론 웃지만 내면은 우울한 스마일마스크증후군(18.1%), ▲ 뚜렷한 이유 없이 직장 일에 불만을 갖는 증상 사춘기증후군(15.9%), ▲ 사무실에서는 두통이나 현기증을 느끼다가 밖으로 나가면 증상이 사라지는 빌딩증후군(13.9%) 등을 겪고 있었다.
직장인 증후군의 심각도에 대해서는 ‘업무에 차질을 주는 수준’이 55.2%로 과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러한 증후군을 겪는 원인으로는 ‘많은 업무량’(41.5%,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소통 부족’(25.4%), ‘본인 성격’(24%), ‘건강관리 부족’(23.9%), ‘과도한 근무시간’(21.7%), ‘수직적 조직문화’(21.1%), ‘성과 압박’(19.3%) 등을 이유로 들었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직장인 증후군’을 극복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
‘충분한 휴식을 취한다’(48.2%, 복수응답)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여행, 취미 등 기분 전환 계기를 찾는다’(47.2%)가 바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이직을 준비한다’(33.2%), ‘운동 등으로 체력을 키운다’(26.3%), ‘가족이나 주변사람과 고민을 공유한다’(25.4%), ‘명상 등 마인드컨트롤을 한다’(12.3%)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위의 증후군 증상으로 전문가 상담이나 치료를 받은 응답자는 6.7%였다.
또, 재직중인 회사에서 증후군을 벗어나는데 도움을 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있다는 응답자는 8.6%에 불과해 ‘직장인 증후군’을 극복하기 위한 최소한의 제도적 지원도 받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인들은 현재 직장생활 만족도를 평균 53.8점으로 평가해 낙제를 겨우 면한 수준이었다.
이들이 직장생활에 불만족하는 부분으로는 ‘연봉수준’(56.3%, 복수응답), ‘복리후생’(35.8%), ‘조직 분위기’(27.2%), ‘업무 영역’(24.3%), ‘성과에 대한 인정’(21.4%), ‘정시퇴근 등 근무환경’(20.9%) 등이 있었다.
직장생활에 만족하는 부분으로는 ‘정시퇴근 등 근무환경’(37.7%, 복수응답), ‘조직 분위기’(21.6%), ‘대인관계’(18.6%), ‘연봉수준’(14.5%) 등을 꼽았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보니하니’ 29일까지 방송 중단…“채연 부담 덜기위해”
- 가수 김필 “첫 정규, 전곡 작사 작업…최선 다하려고 노력”
- 이재웅 연일 SNS 여론전…“지금 타다 금지나 할 때인가”
- “아들아 땅을 돌려다오” 법정 싸움까지 간 97세 노인의 사연은?
- ‘구미호 까페’ 테마 전주·고창서 1박2일 …‘로맨스 판타지 이야기 여행’ 성료
- 정용진, 백종원 농가지원 요청에 ‘못난이 감자 30톤’ 구매
- 11월 극장에 무슨 일 있었나…1860만명 관람 역대 최고
- 비둘기 머리에 카우보이 모자 씌운 건 누구?
- ‘마약 혐의’ 홍정욱 딸 집행유예…法 “처벌 전력 없어”
- 교총 회장 “문재인 정부 교육정책 C학점…잘한 게 없다”
- 동남아 패키지여행…“숙소는 만족, 선택관광·쇼핑은 불만족”
- 신혼부부 10쌍중 4쌍 “1억 이상 빚지고 출발”
- 기아 3세대 K5, 첨단 신기술+강렬한 디자인…중형세단의 혁신
- 기아차 신형 K5 출시…“가장 똑똑한 중형세단으로 거듭났다”
- 메르세데스벤츠, 신형 GLA 공개…“콤팩트 라인업 완성”
- "앗, 안돼!"..승강기에 목줄 걸린 강아지 구하려 달려간 이웃 남성
- ‘매물품귀’에 서울집값 0.21% 급등…상승폭 올들어 최대
- 구조조정대상 기업 210곳 중 96%가 中企… 금융위기후 최대
- 폭풍성장하던 중국 앱 틱톡 ‘빨간불’
- ‘심야배송’ 치열한 경쟁에… 한밤 화물차 사고 1년새 12배 껑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