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과 놀자!/주니어를 위한 칼럼 따라잡기]‘코리안 미러클’ 새벽배송
정임수 논설위원 , 김재성 동아이지에듀 기자
입력 2019-07-03 03:00:00 수정 2019-07-03 03:00:00

택배와 배달대행업이 성행하면서 동네 맛집 음식부터 잔심부름까지 배달되지 않는 게 없다. 인터넷에서 ‘배달의 민족’을 검색하면 우리 겨레를 이르는 말보다 배달 앱(애플리케이션)이 먼저 뜬다. 온라인 마켓에서는 당일배송, 정기배송에 이어 새벽배송 경쟁이 치열하다. 오후 11시까지 주문하면 다음 날 오전 7시 전에 집 앞에 갖다준다. 잠들기 전 고른 메뉴가 아침 식탁에 오르는 시대가 된 것이다.
새벽배송은 4년 전 마켓컬리가 ‘신선식품 샛별배송’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 당시 택배는 2∼3일, 빠른 배송도 최소 하루가 걸릴 때였다. 공산품(원료를 인력이나 기계력으로 가공하여 만들어 내는 물품)도 아닌 신선식품을 전날 밤 주문받아 몇 시간 만에 배송하는 서비스를 내놓자 업계 사람들은 미친 짓이라 했지만 소비자들은 호응했다. 유통업 배송 전쟁을 촉발시킨 쿠팡은 물론이고 신세계 롯데마트 현대백화점 같은 유통 공룡들까지 새벽배송에 뛰어들어 맞벌이 부부와 1, 2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을 바꿔놓고 있다.
㉠2015년 100억 원에 불과했던 새벽배송 시장 규모는 지난해 4000억 원을 넘었고 올해 8000억 원 이상이 될 것이라고 한다. 갓 만든 반찬, 산지(생산되어 나오는 곳)에서 직송(곧바로 보냄)된 제철 식재료, 아이들 장난감, 학용품 등 새벽배송 쇼핑 품목도 다양해지고 있다. 한국의 새벽배송 서비스는 세계 ㉡유일무이한 성공 사례로 혁신적 물류 시스템과 정보기술(IT), 빅데이터 기술들이 결합된 ‘코리안 미러클’이라 할 만하다.
하지만 찬사를 받는 만큼 그림자도 있는 법. 택배 기사들은 대개 자기 차량으로 회사와 계약한 개인사업자인데, 과열(지나치게 뜨거워짐)되는 새벽배송 경쟁으로 살인적 노동 강도에 시달리고 있다. 해외에선 자율주행차·로봇·드론 배송 등 배송 수단의 혁신이 화두인데 우리는 속도전에만 치중하는 건 아닌지 걱정스럽다. 저임금 노동을 앞세워 배달천국이 된 중국도 이미 드론 배송을 시작했다. 한국의 아침 풍경을 바꾼 새벽배송이 이런 논란들을 극복하고 어떻게 진화할지 지켜볼 일이다.
동아일보 6월 26일자 정임수 논설위원 칼럼 정리
칼럼을 읽고 다음 문제를 풀어 보세요.
1. 다음은 ‘㉠’을 바꿔 쓴 문장입니다. ㉠을 참조해 빈칸에 들어갈 적절한 숫자를 각각 쓰세요.
2015년 100억 원에 불과했던 새벽배송 시장 규모는 지난해 2015년에 비해 ( )배 넘게 증가했고, 올해는 2015년 시장 규모의 ( )배 이상이 될 것이라 한다.
2. ‘㉡유일무이’의 뜻으로 적절한 것은 무엇인지 본문을 살펴본 뒤 유추해 고르세요.
① 이전에도 없었고 이후에도 없음.
② 오직 하나만 있고 둘은 없음.
③ 결코 변하지 않음.
김재성 동아이지에듀 기자 kimjs6@donga.com
비즈N 탑기사
- ‘보니하니’ 29일까지 방송 중단…“채연 부담 덜기위해”
- 가수 김필 “첫 정규, 전곡 작사 작업…최선 다하려고 노력”
- 이재웅 연일 SNS 여론전…“지금 타다 금지나 할 때인가”
- “아들아 땅을 돌려다오” 법정 싸움까지 간 97세 노인의 사연은?
- ‘구미호 까페’ 테마 전주·고창서 1박2일 …‘로맨스 판타지 이야기 여행’ 성료
- 정용진, 백종원 농가지원 요청에 ‘못난이 감자 30톤’ 구매
- 11월 극장에 무슨 일 있었나…1860만명 관람 역대 최고
- 비둘기 머리에 카우보이 모자 씌운 건 누구?
- ‘마약 혐의’ 홍정욱 딸 집행유예…法 “처벌 전력 없어”
- 교총 회장 “문재인 정부 교육정책 C학점…잘한 게 없다”
- 동남아 패키지여행…“숙소는 만족, 선택관광·쇼핑은 불만족”
- 신혼부부 10쌍중 4쌍 “1억 이상 빚지고 출발”
- ‘심야배송’ 치열한 경쟁에… 한밤 화물차 사고 1년새 12배 껑충
- ‘매물품귀’에 서울집값 0.21% 급등…상승폭 올들어 최대
- 재건축만 바라보다… 은마아파트 지하실엔 폐기물 2300t
- 1인가구 3명 중 1명, 월 200만원도 못번다…삶 만족도도 낮아
- 소득 상위 20%, 하위 10%보다 6.5년 더 산다…건강 불평등 OECD중 최고
- 크리스마스 선물 사기 전에 ‘이것’ 먼저 확인하세요
- “정부가 국민의견에 귀 기울인다” 19.5% 그쳐
- 국내 액상형 전자담배서 폐질환 의심물질…‘사용중단’ 권고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