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고용 식고 中성장 덜컹… ‘글로벌 엔진’ 이상신호

뉴욕=박용 특파원, 베이징=윤완준 특파원 , 강유현 기자

입력 2019-03-11 03:00 수정 2019-03-11 11:08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G2 동시에 성장둔화 조짐… 한국 수출길에도 먹구름

《한국의 수출 텃밭인 중국과 미국 경제의 엔진이 식어가고 있다는 경보음이 울리고 있다. 지난달 미국 일자리 증가세에 급제동이 걸리면서 독주하던 미국 경제 성장세에 의문 부호가 찍혔다. 미국과 무역전쟁을 치르며 지난해 1990년 이후 가장 저조한 성적표를 받아 든 중국 경제는 소비 투자 수출 증가세가 모두 둔화되고 있다. 세계 경제 둔화로 한국 수출길이 순탄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미국의 비농업 부문 일자리가 2만 개 늘어나는 데 그치며 ‘일자리 엔진’이 사실상 가동을 멈췄다. 미국과 무역전쟁을 치르고 있는 중국의 ‘성장 엔진’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세계 경제의 성장 엔진인 미국과 중국에서 동시에 이상 징후를 알리는 경보가 깜빡거리고 있는 셈이다.》


美일자리 증가, 1월 30만개→2월 2만개




미국 노동부는 2월 비농업 부문 일자리가 2만 개 증가했다고 8일(현지 시간) 밝혔다. 이는 1월(30만4000개)의 약 15분의 1에 불과하며 시장 전망치(18만 개 증가)를 크게 밑도는 수치다. 허리케인 피해로 노동시장이 충격을 받았던 2017년 9월(1만8000개) 이후 약 1년 반 만에 나온 최악의 성적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고용이 경기 확장에 브레이크를 걸었다”고 평가했고,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의 일자리 엔진이 둔화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2월 일자리 증가세에 급제동이 걸린 것은 1월 25일까지 35일간 이어졌던 미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과 혹한 등에 따른 일시적 영향일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2월 실업률이 전달 4%에서 3.8%로 떨어졌고, 시간당 평균임금도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4% 증가해 10년 만에 상승한 점은 소비 지출과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지표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미국 경제가 지난해와 같은 일자리 성장세를 유지하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도 금리 인상을 보류하며 세계 경제 상황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있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8일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대 경제정책연구소(SIEPR) 강연에서 “지난 6개월간 세계 경제는 둔화되고 있다”며 미국 경제의 하방 위험을 경고했다.


中, 소비-투자-수출 증가세 모두 주춤




중국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6.6%로 1990년(3.9%) 이후 가장 낮다. 소비, 투자, 수출 등 증가세도 모두 둔화되고 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의 지난달 수출은 전년도 같은 달 대비 20.7% 감소한 1352억4000만 달러(약 153조3490억 원)에 머물렀다. 수입도 지난해 같은 달보다 5.2% 줄어든 1311억2000만 달러였다.

중국 경제의 성장률이 실제보다 더 나쁠 수 있다는 경고도 쏟아지고 있다. 중국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미국 경제학자인 마이클 페티스 베이징(北京)대 교수는 6일 상하이(上海)에서 열린 한 포럼에서 “악성 부채를 반영하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발표 수치의 절반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국 성장률이 실제로는 3.3%에 그쳤을 수 있다는 얘기다. 홍콩중문대와 미국 시카고대 연구진은 2008∼2016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경제성장률이 2%가량 부풀려졌다는 분석이 담긴 연구 결과를 브루킹스연구소가 발간하는 학술지에 게재할 예정이다.

미중 무역갈등으로 중국의 한계기업이 늘어나면 부채 부실화와 부동산 시장 급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국은행은 10일 내놓은 ‘미중 무역갈등 이후 중국의 경제 상황 및 리스크 요인 평가’ 보고서에서 중국 경제가 직면한 위험 요인으로 부채 부실화와 부동산 시장 경착륙 가능성을 꼽았다. 지난해 6월 말 기준 중국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부채비율은 155.1%로 국제결제은행(BIS) 조사 대상국 43개국 중 6번째로 높다.

한은은 “아직까지 중국의 기업부채가 대규모로 부실화되거나 부동산 시장이 경착륙할 가능성은 제한적이지만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뉴욕=박용 특파원 parky@donga.com
베이징=윤완준 특파원 zeitung@donga.com / 강유현 기자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