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두 “방위산업, 수출주도형으로 육성”
손효주 기자
입력 2018-12-14 03:00:00 수정 2018-12-14 03:00:00
동아일보-채널A 주최 ‘K-디펜스 포럼’
“안보-경제 모두에 기여할 산업… 범정부 차원 경쟁력 강화 지원”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13일 동아일보와 채널A 주최로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2018 K-디펜스 포럼’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방위산업은 안보와 경제 모두에 기여할 수 있는 국가 발전의 중요한 원동력이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4일 동아일보와 채널A 주최로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2018 K-디펜스(Defense) 포럼’에서 방위산업의 중요성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K-디펜스 포럼은 정부 및 방산업계 관계자, 학계 전문가들이 모여 한국 방위산업이 나아갈 길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로 올해가 3번째다.
‘남북 교류 활성화와 방위산업 정책’을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서 정 장관은 축사를 통해 최근 위기론이 부각되고 있는 방위산업을 범정부 차원에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10대 방산업체의 매출은 약 9조5100억 원으로 2016년 11조5500억 원에 비해 17.6% 감소했다. 10대 방산업체의 지난해 수출도 1조5200억 원으로 2016년 2조5200억 원에 비해 약 40% 줄어드는 등 방위산업이 고사할 위기라는 말까지 나온다. 실제로 9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18조 원 규모의 미국 공군 고등훈련기 사업 수주전에서 고배를 마시는 등 방위산업에 악재가 겹치고 있다.
정 장관은 “방위산업을 수출주도형 산업으로 육성해 나가야 한다”며 “규제 완화, 정책 인프라 정비 등 범정부 차원의 지원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방부는 방위산업 관리의 투명성과 유연성을 제고하는 등 방위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도 말했다.
주제발표를 맡은 김일동 국방부 전력정책관 역시 “국가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무기체계 개발에서는 국가의 총체적인 역량을 집중하는 한편 지체상금(납기 지연 배상금)을 감면해주는 등 실패를 용인하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진행된 패널 토론에서는 남북 군사합의로 군사적 긴장이 완화되는 현재 국면이 방위산업을 더 위축시킬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주적 개념이 사라지고 군비가 축소되면서 방위산업이 설 곳이 점점 좁아질 것이라는 것. 다른 한편으로는 북한의 위협이 줄어들면서 무기 개발의 시급성이 해소되는 한편 유연성이 확보되는 등 수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는 정반대 의견도 나왔다.
손효주 기자 hjson@donga.com
“안보-경제 모두에 기여할 산업… 범정부 차원 경쟁력 강화 지원”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4일 동아일보와 채널A 주최로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2018 K-디펜스(Defense) 포럼’에서 방위산업의 중요성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K-디펜스 포럼은 정부 및 방산업계 관계자, 학계 전문가들이 모여 한국 방위산업이 나아갈 길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로 올해가 3번째다.
‘남북 교류 활성화와 방위산업 정책’을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서 정 장관은 축사를 통해 최근 위기론이 부각되고 있는 방위산업을 범정부 차원에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10대 방산업체의 매출은 약 9조5100억 원으로 2016년 11조5500억 원에 비해 17.6% 감소했다. 10대 방산업체의 지난해 수출도 1조5200억 원으로 2016년 2조5200억 원에 비해 약 40% 줄어드는 등 방위산업이 고사할 위기라는 말까지 나온다. 실제로 9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18조 원 규모의 미국 공군 고등훈련기 사업 수주전에서 고배를 마시는 등 방위산업에 악재가 겹치고 있다.
정 장관은 “방위산업을 수출주도형 산업으로 육성해 나가야 한다”며 “규제 완화, 정책 인프라 정비 등 범정부 차원의 지원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방부는 방위산업 관리의 투명성과 유연성을 제고하는 등 방위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도 말했다.
주제발표를 맡은 김일동 국방부 전력정책관 역시 “국가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무기체계 개발에서는 국가의 총체적인 역량을 집중하는 한편 지체상금(납기 지연 배상금)을 감면해주는 등 실패를 용인하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진행된 패널 토론에서는 남북 군사합의로 군사적 긴장이 완화되는 현재 국면이 방위산업을 더 위축시킬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주적 개념이 사라지고 군비가 축소되면서 방위산업이 설 곳이 점점 좁아질 것이라는 것. 다른 한편으로는 북한의 위협이 줄어들면서 무기 개발의 시급성이 해소되는 한편 유연성이 확보되는 등 수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는 정반대 의견도 나왔다.
손효주 기자 hjson@donga.com
비즈N 탑기사
- 워너원 1명, 떨어질 멤버가 붙었다 ‘충격’…‘프듀’ 모든 시즌 투표 조작
- 조현병 환자 범죄율 낮지만 살인 비율은 일반인의 5배
- ‘유승준 비자소송’ 다시 대법으로… 주LA 총영사관, 재상고장 제출
- 익스 출신 이상미, 엄마 된다…“임신 20주차, 태교에 전념”
- ‘태풍 3개 영향’ 올가을 비 많고 더웠다… 평균기온 15.4도 역대 2위
- ‘여친 폭행 뒤 잠적’ BJ찬, 5개월 만에 시민 신고로 체포
- ‘성남시 어린이집 성폭력’ 청원 하루 만에 20만 넘어
- ‘집단 성폭행·동영상 유포 혐의’ 정준영 징역 6년, 최종훈 징역 5년
- 김건모, 결혼식 연기 아버지 기일 때문…스물웨딩도 취소
- 음주단속 예고에도…경기 남부서 2시간새 67명 적발
- 12월 중고차 시세 하락… 아우디 A6·쌍용 티볼리 구매 적기
- 참이슬 백팩·곰표 패딩…“이걸 입는다고? 없어서 못 판다!”
- 불매 불씨 꺼지나…‘할인 총공세’에 일본車 판매 ‘회복세’
- 서울 9억원 이상 아파트, 1년만에 15% 늘었다
- SK, 핵심 CEO 유임… 임원 세대교체로 ‘신성장’ 박차
- 야간뇨로 잠 못 이루세요? 저녁에 물 적게 드세요
- 외출 위해 패딩 입히자 롱다리 자랑하는 멍멍이..'롱패딩 입어야겠네'
- 저축은행 거래자수 600만명 첫 돌파…“모바일 앱 효자”
- [김재범 기자의 투얼로지] ‘춘천 가는 기차’ 타고 ‘소양강 처녀’ 만나 볼까
- 필리핀, 세계 최고 다이빙 여행지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