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vs정용진’ 미니스톱 누가 차지할까?…인수전 ‘후끈’

뉴스1

입력 2018-11-29 07:34 수정 2018-11-29 09:23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우선협상자 발표 임박…편의점 판세 달라지나 ‘촉각’
인수 실익 크지 않아…‘승자의 저주’ 우려도


미니스톱. 2018.11.20/뉴스1 © News1
국내 편의점 업계 4위인 한국 미니스톱 인수자를 결정하는 ‘운명의 날’이 다가오고 있다.

롯데와 신세계, 글랜우드프라이빗에쿼티 중 새 주인이 결정된다. 결과에 따라 편의점 업계 순위가 당장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누가 인수하느냐에 따라 편의점 업계 판세가 변할 수 있어 업계에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 신동빈의 롯데 vs 정용진의 신세계…미니스톱 쟁탈전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왼쪽)과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 News1

29일 업계에 따르면 미니스톱은 이온그룹 계열사인 일본 미니스톱이 76.6%, 국내 식품기업인 대상이 20%, 일본 미쓰비시가 3.94%씩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매각대상은 한국미니스톱 지분 100% 전량으로 매각가는 약 3000억~4000억원으로 추정된다.

업계 1~2위인 BGF리테일(CU)과 GS리테일(GS25)이 빠지면서 흥행에 실패한듯 했지만 롯데(세븐일레븐)와 신세계(이마트24)가 본 입찰에 나서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롯데와 신세계 모두 미니스톱 인수로 판세를 뒤집겠다는 계획이다. 미니스톱의 매장 수는 약 2500개다. CU(1만3100개)나 GS25(1만3000개)와 비교하면 격차가 크다. 하지만 3위인 롯데의 세븐일레븐(9500개)이 인수하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매장 수가 1만2000개까지 늘어나면서 3강 구도가 형성된다.

롯데는 매장 수는 물론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보고 있다. 더욱이 과거 편의점 ‘로손’과 ‘바이더웨이’를 인수한 경험도 있어 합병에 대한 부담이 적다.

특히 신동빈 회장이 경영일선에 복귀한 이후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밝히고, 사업구조 개편에 나선 상황에서 미니스톱 인수는 하나의 성과가 될 수 있다.

신세계도 적극적이다. 이마트24의 매장 확대가 주춤한 상황에서 미니스톱은 꼭 잡아야 할 카드다.

앞서 2014년 편의점 ‘위드미’를 인수했던 신세계는 신규 출점의 어려움과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돌파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만약 미니스톱 인수에 성공하면 매장 수가 6000개를 돌파하며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신세계는 이미 3년 동안 3000억원을 투자, 급성장하고 있는 편의점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글랜우드PE는 다크호스로 꼽힌다. 롯데나 신세계와는 다르지만 자금력은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욱이 간판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영업할 수 있어 일본 이온그룹이 선호한다는 분석이다.

◇가맹점주 이탈에 ‘승자의 저주’ 우려도

미니스톱 인수로 인한 실익은 적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BGF리테일과 GS리테일이 빠진 이유도 얻을 게 별로 없었기 때문이라는 것.

미니스톱과 계약이 끝난 가맹점주들이 이탈할 수 있고, 간판을 바꿔 달기도 쉽지 않다. 가맹점주들이 이탈하면 사실상 인수 효과를 기대하긴 어렵다. 이미 BGF리테일과 GS리테일이 미니스톱 점주 영입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 후에는 근접출점 문제로 상권조정이 필요하고 브랜드 교체 비용도 지원해야 한다. 실제 세븐일레븐은 2010년 바이더웨이를 인수했지만 지금도 200개 넘는 바이더웨이 매장이 유지되고 있다.

인건비 부담이 늘고 있고, 편의점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는 것도 부담 중 하나다. 출점 자제 움직임도 있다.

특히 이마트24는 가맹구조가 달라 경영방식을 투트랙으로 운영해야 한다. 이마트24는 상품공급을 통해 이윤을 얻고 있는 반면 미니스톱은 가맹점 수익의 일정 부분을 로열티로 받는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인수 효과가 얼마나 되는지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지금으로선 실익이 크지 않아 보인다”고 평가했다.

일각에서는 실익보다는 롯데와 신세계의 자존심 싸움으로 보기도 했다. 다른 관계자는 “롯데와 신세계는 전통의 유통 맞수”라며 “롯데는 신세계와 격차를 벌리기 위해, 신세계는 추월 동력을 위해 인수에 참여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어디가 인수하든 시장에 대한 충격보다는 입찰에 탈락한 쪽의 충격이 클 것”이라며 “양측의 경쟁에 따라 인수가가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