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출마 겨냥한 靑참모-장관들 “연말연초가 떠날 타이밍”

한상준 기자

입력 2018-11-05 03:00 수정 2018-11-05 03:00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靑-내각 동시개편 검토]

고위 당정청협의회 참석한 김&장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위쪽 사진의 왼쪽)과 후임 부총리로 거론되는 홍남기 국무조정실장이 4일 국회에서 열린 고위 당정청 협의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뒤로 걸어가고 있다. 동반 퇴진이 거론되는 장하성 대통령정책실장(아래쪽 사진)도 함께 회의에 참석했다. 장승윤 기자 tomato99@donga.com
“이제는 ‘핀셋 교체’냐, 아니면 개각 및 개편 수준으로 가느냐의 문제가 됐다.”

4일 여권 핵심 관계자는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장하성 대통령정책실장의 교체 문제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경제 투 톱’의 교체는 기정사실화한 상황에서 단순히 두 사람 교체설을 넘어 청와대 참모와 장관 일부를 함께 교체해야 한다는 말도 확산되는 데 따른 것이다. 이는 두 사람만 콕 집어 교체할 경우 마치 경제 상황에 대한 책임을 묻는 양상이 되는 데다, 정권 출범 직후부터 근무해온 일부 참모 및 장관의 교체 타이밍도 다가왔기 때문이다.


○ ‘경제 실패론’ 막기 위해 여권 “경질 아냐” 엄호

청와대와 더불어민주당은 주말 동안 경제 투 톱의 교체 문제를 두고 공식적으로는 침묵을 지켰다. 그러나 물밑에서는 ‘두 사람의 교체가 경질이나 문책이 아니다’란 점을 알리는 데 집중했다. 한 여당 의원은 “집권 내내 경제부총리와 정책실장을 바꾸지 않고 갈 순 없는 것 아니냐. 이제는 2기 경제팀이 출범할 때가 된 것뿐”이라며 “문재인 대통령 역시 비슷한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당청이 “경질이 아니다”며 엄호에 나선 것은 두 사람의 경질로 비치면 정부 경제 정책의 실패를 인정하는 격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장 실장이 현 정부 핵심 경제 정책인 소득주도성장의 전도사 역할을 해왔다는 점에서 장 실장의 교체가 소득주도성장의 포기로 비쳐서는 안 된다는 게 청와대의 생각이다. 여기에 자존심이 강해 줄곧 파열음을 냈던 두 사람이 교체 과정에서 불명예 퇴진이라고 느끼게 된다면 나중에 어떤 식으로든 여권에 부담이 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 일부 靑 참모, “떠나야 한다면 즉시 물러날 것”

교체 대상이 확대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인식과 무관치 않다. 정권 출범 직후부터 근무해온 일부 청와대 참모와 장관을 함께 바꿔 두 사람에게 쏠리는 관심을 분산시키고, ‘집권 3년 차를 앞둔 전열 정비’로 자연스럽게 이어가도록 하겠다는 것.

더군다나 지난해 5월 임명된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 조국 대통령민정수석비서관 등 청와대 핵심 참모들은 근무 18개월째로, 노무현 정부 청와대와 견줘 봐도 길게 근무한 편이다. ‘장수(長壽) 참모’에 속하는 일부 청와대 인사 역시 최근 주변에 “더 자리에 연연해 대통령에게 부담을 줄 생각은 없다. 떠나야 한다면 즉시 물러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집권 후반기 정국 주도권이 달려 있는 2020년 4월 총선도 고려 요인이다. 현재 내각에는 7명의 현역 의원 겸 장관이 포진해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들이 총선 때 한꺼번에 복귀하는 건 국회 인사청문회 등을 고려할 때 여러모로 부담”이라며 “입각 시점에 따라 순차적으로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다”고 전했다. 청와대 참모와 장관들이 총선에 나서려면 연말 연초부터 떠나는 게 서로에게 최적의 타이밍이라는 얘기다. 이에 따라 지난해 5월 첫 조각 당시 입각한 김부겸 행정안전부,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김현미 국토교통부,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중 일부는 인사 대상자로 점쳐진다.


○ 靑 “시점도 교체 폭에 달려”

그러나 교체 폭이 커지면 그만큼 많은 후임자를 찾아야 한다는 점이 청와대의 고민이다. 총선을 앞두고 있어 정치인 출신 인재 풀이 좁을 수밖에 없어 여당 일각에선 “지역구 출마 뜻이 없는 비례대표 의원들의 차출이 불가피하다”는 기류도 감지된다. 또 8월 개각처럼 관료 출신의 약진이 이어질 수도 있다.

관심을 모으고 있는 인사 시점에 대해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시점도 결국 교체 폭과 맞물려 있다”고 말했다. ‘경제 투 톱’만 교체한다면 인사 시점이 빨라질 수 있지만 대상이 늘어나면 검증 절차 등으로 다음 달 중·후반까지 밀릴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이 모든 문제의 결정권을 쥐고 있는 문 대통령은 3일 하루 연차를 낸 데 이어 주말까지도 별다른 일정 없이 장고에 돌입했다. 청와대도 “인사 관련 변동 사항은 아직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인사 논란의 장기화는 예산 정국을 앞두고 있는 당정청 모두에 부담인 만큼 이번 주 내로 문 대통령이 어떤 식으로든 가닥을 잡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상준 기자 alwaysj@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