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서 5시간 거리, 北선 이틀 넘게 걸려”
강성휘기자
입력 2018-05-19 03:00:00 수정 2018-05-19 03:00:00
[위클리 리포트]안병민 한국교통硏 선임연구위원
“北철도 80%, 노후화로 제기능 못해… 전력 부족해 열차 멈춰서기 일쑤”
금융위 “철도 현대화에 83조원 들듯”
부식돼 금방이라도 부서질 듯한 북한 철도 교량. 동아일보DB“철로에 서 있는 화물열차 차체는 심하게 부식돼 있었다. 손으로 짚으면 금방이라도 ‘푸석’ 하고 뚫릴 것 같았다. 일부는 차체 양쪽 벽 부분이 아예 떨어져나가 열차 너머가 훤히 보였다. 철로도 낡긴 마찬가지다. 녹이 슨 철로를 받치는 침목은 대부분 나무다. 원기둥 모양 통나무를 잘라 그대로 쓴 경우도 허다했다. 통나무가 수축하거나 쪼개지면 철로가 끊어질 수도 있는 위험한 상태였다. 철로와 침목을 고정하는 건 못 하나가 전부였다. 열차 하중을 분산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자갈이 아예 깔려 있지 않은 곳도 많다. 이 때문에 열차가 상하좌우로 흔들렸다.”
2011년까지 북한을 49차례나 방문해 철도 도로 등을 샅샅이 훑어본 안병민 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59) 얘기다.
북한 교통망은 주철종도(主鐵從道)여서 철도가 근간이고 도로는 보조수단이다. 철도가 전체 여객 수송량의 60%, 화물 수송량의 90%를 담당한다. 북한에는 2013년 현재 약 5300km 길이의 철도가 깔려 있다. 남한(3560km)의 약 1.5배다. 김일성은 “철도 운영은 인체에 비유하면 혈액이 순환되는 것과 같다”고 말할 정도로 중요하게 여겼다. 하지만 현재 북한은 피가 제대로 돌지 않고 있다. 북한 화물열차와 여객열차 속도는 시속 10∼15km 수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2시간13분23초에 마라톤을 완주한 황영조의 평균속도는 시속 19km 정도다. 엔진 성능이 떨어질뿐더러 노후한 철도나 교량이 고속 주행을 버티지 못한다는 것. 가장 빠른 열차가 김정일이 방중 때 탄 평양∼신의주 국제열차인데 이 역시 시속 45km에 불과하다.
철도의 약 80%가 전철화 구간으로 한국(73%)보다 높지만 전력이 충분치 못해 열차가 멈춰 서는 경우도 다반사다. 한국에서 5시간이면 갈 거리를 이틀에도 못 간다. 열차 운행 횟수가 부족해 화장실까지 승객으로 가득 찬다. 장거리 여행을 하는 사람들은 생리 현상을 해결할 작은 용기를 들고 타야 할 정도다.
안 선임연구위원은 “전체 철도 중 약 80%는 노후해 제 기능을 못한다고 보면 된다”며 “북한 철도는 ‘불비, 불편, 민망’ 상태다. 말 그대로 총체적 난국”이라고 했다. 그만큼 북한 철도사업은 한국으로선 기회다. 하지만 리스크도 있다. 무엇보다 비용 부담이 크다.
금융위원회가 2014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북한 철도 현대화에 필요한 비용은 83조 원(약 773억 달러). 북한 철도 현대화 지원에 부정적인 의견도 있다. 북핵 담판이 결실을 보고 북한 경제가 개방된다 해도 부산에서 독일 베를린행 유라시아 급행열차를 타게 되기까지는 적잖은 시간과 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안 선임연구위원은 “수익성이 높은 구간을 선별해 다자 간 협력 방식으로 단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해 나가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했다.
강성휘 기자 yolo@donga.com
“北철도 80%, 노후화로 제기능 못해… 전력 부족해 열차 멈춰서기 일쑤”
금융위 “철도 현대화에 83조원 들듯”

2011년까지 북한을 49차례나 방문해 철도 도로 등을 샅샅이 훑어본 안병민 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59) 얘기다.
북한 교통망은 주철종도(主鐵從道)여서 철도가 근간이고 도로는 보조수단이다. 철도가 전체 여객 수송량의 60%, 화물 수송량의 90%를 담당한다. 북한에는 2013년 현재 약 5300km 길이의 철도가 깔려 있다. 남한(3560km)의 약 1.5배다. 김일성은 “철도 운영은 인체에 비유하면 혈액이 순환되는 것과 같다”고 말할 정도로 중요하게 여겼다. 하지만 현재 북한은 피가 제대로 돌지 않고 있다. 북한 화물열차와 여객열차 속도는 시속 10∼15km 수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2시간13분23초에 마라톤을 완주한 황영조의 평균속도는 시속 19km 정도다. 엔진 성능이 떨어질뿐더러 노후한 철도나 교량이 고속 주행을 버티지 못한다는 것. 가장 빠른 열차가 김정일이 방중 때 탄 평양∼신의주 국제열차인데 이 역시 시속 45km에 불과하다.
철도의 약 80%가 전철화 구간으로 한국(73%)보다 높지만 전력이 충분치 못해 열차가 멈춰 서는 경우도 다반사다. 한국에서 5시간이면 갈 거리를 이틀에도 못 간다. 열차 운행 횟수가 부족해 화장실까지 승객으로 가득 찬다. 장거리 여행을 하는 사람들은 생리 현상을 해결할 작은 용기를 들고 타야 할 정도다.
안 선임연구위원은 “전체 철도 중 약 80%는 노후해 제 기능을 못한다고 보면 된다”며 “북한 철도는 ‘불비, 불편, 민망’ 상태다. 말 그대로 총체적 난국”이라고 했다. 그만큼 북한 철도사업은 한국으로선 기회다. 하지만 리스크도 있다. 무엇보다 비용 부담이 크다.
금융위원회가 2014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북한 철도 현대화에 필요한 비용은 83조 원(약 773억 달러). 북한 철도 현대화 지원에 부정적인 의견도 있다. 북핵 담판이 결실을 보고 북한 경제가 개방된다 해도 부산에서 독일 베를린행 유라시아 급행열차를 타게 되기까지는 적잖은 시간과 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안 선임연구위원은 “수익성이 높은 구간을 선별해 다자 간 협력 방식으로 단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해 나가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했다.
강성휘 기자 yolo@donga.com
비즈N 탑기사
- 멜라니아 “백악관 재입성? 절대 아니라고 말 못해”
- “손주 낳지 않아서”…인도서 부모가 아들에 8억 손배 청구
- 병 걸린 낙타 죽자…토막내 호랑이 먹이로 준 동물원
- 새로운 10대 슈퍼히어로…‘미즈 마블’ 6월8일 디즈니+ 공개
- ‘무 닦던 수세미로 발 세척’ 족발집 조리장, 벌금 1000만 원
- 앤디 워홀 ‘매릴린 먼로’ 2500억 낙찰…20세기 미술품 중 최고가
- 산후조리원에 신생아 두고 사라진 부부…경찰 수사
- 작은 변화가 모여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2030세상/배윤슬]
- “멧돼지로 착각”… 길가서 소변보던 택시기사, 엽사가 쏜 총에 숨져
- “당신의 전쟁이 아니에요”…키이우서 울려 퍼진 3세 소년 노래
- “누가 살까” “다 팔렸다”… 뜨거웠던 아트페어 ‘아트부산’
- 7월부터 대출자 18%는 신규대출 불가…대출한도도 ‘뚝’
- 주담대 금리 또 오른다…코픽스, 3년 만에 최고치
- 고령화되는 노동시장…취업자 20%는 노인, 청년보다 181만명 많아
- 공공기관 평균 연봉 7000만 원…대기업보다 높아
- [단독]사활 걸고 만든 쌍용차 SUV 신차, 모델명 ‘토레스’로 확정
- 사람처럼 씹고 맛보고… ‘최적의 음식 맛’ 찾는 로봇 나왔다
- “미래차 내부, 뜨뜻한 온돌방으로 변신”
- ‘2030’ 자산격차 35.27배…소득보다 ‘부의 대물림’ 원인
- 서울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중, 5년 만에 62.6%→7.6%로 ‘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