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액체납자 명단공개]4억 현금뭉치·골드바 ‘와르르’…소파 등받이 속에 수표가…
최정아 동아닷컴 기자
입력 2017-12-11 14:39:00 수정 2017-12-11 14:45:16
고액체납자 명단공개
사진=국세청 제공
수십억 원의 양도소득세 등을 탈루한 A 씨는 위장이혼으로 재산분할, 지인을 이용한 허위매매 등을 통해 체납처분을 회피한 혐의로 국세청의 조사 대상이 됐다.
주변 탐문을 통해 A 씨 부부가 이혼 후에도 같은 집에 산다는 걸 파악한 국세청 직원들은 경찰 입회 하에 A 씨의 실거주지에 대한 수색을 집행했고, 금고 2개를 확보했다.
장시간 동안 금고 수색을 방해하던 A 씨는 국세청 직원들의 설득 끝에 새벽에서야 금고 문을 열었다. 금고 안에서는 4억3000만 원 상당의 5만 원 권 현금뭉치와 함께 골드바 3개 등이 쏟아졌다. A 씨는 수색 후 심리적 부담을 느껴 4억 원을 추가로 자진 납부했다.
사진=국세청 제공
가족에게 양도대금 은닉 후 위장 전입해 체납처분 회피한 혐의를 받은 B 씨는 자택 소파 등받이에 수표 4000만 원을 숨겼지만 국세청 직원들의 ‘매의 눈’을 피해가지 못했다.
C 씨는 본인 소유의 부동산을 양도하고 매매대금을 빼돌려 배우자 명의로 고급아파트를 구입해 호화생활을 누렸다. C 씨 집 금고와 옷장 안 가방에서는 현금 2억2000만 원과 고가의 외제 손목시계 등이 발견됐다.
사진=국세청 제공
고미술품 수집·감정가인 D 씨는 종합소득세 등 80억 원대 세금을 내지 않았다. 그는 고가의 미술품을 자녀가 대표자로 있는 미술품 중개법인 등에 보관하는 방법 등으로 재산을 은닉하다가 덜미를 잡혔다.
국세청은 이 같은 방법으로 올해 10월까지 1조5752억 원의 세금을 징수하거나 조세 채권을 확보하는 성과를 냈다.
국세청이 11일 공개한 올해 고액·상습 체납자 2만1403명 명단에 따르면, 가장 많은 세금을 내지 않는 개인은 유지양 전 효자건설 회장(56)으로 상속세 446억8700만 원을 체납했다.
두 번째는 신동진 전 이프 실대표자로 체납액은 392억 원, 세 번째는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81)으로 양도소득세 등 368억7300만 원을 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상나(49)·유혁기(45)·유섬나(51) 등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 일가는 증여세 등 115억4300만 원의 내지 않았다.
연예인 중에는 가수 구창모 씨가 양도소득세 등 3억8700만 원을 내지 않았고, 탤런트 김혜선 씨도 종합소득세 등 4억700만 원을 체납했다.
최정아 동아닷컴 기자 cja0917@donga.com

수십억 원의 양도소득세 등을 탈루한 A 씨는 위장이혼으로 재산분할, 지인을 이용한 허위매매 등을 통해 체납처분을 회피한 혐의로 국세청의 조사 대상이 됐다.
주변 탐문을 통해 A 씨 부부가 이혼 후에도 같은 집에 산다는 걸 파악한 국세청 직원들은 경찰 입회 하에 A 씨의 실거주지에 대한 수색을 집행했고, 금고 2개를 확보했다.
장시간 동안 금고 수색을 방해하던 A 씨는 국세청 직원들의 설득 끝에 새벽에서야 금고 문을 열었다. 금고 안에서는 4억3000만 원 상당의 5만 원 권 현금뭉치와 함께 골드바 3개 등이 쏟아졌다. A 씨는 수색 후 심리적 부담을 느껴 4억 원을 추가로 자진 납부했다.

가족에게 양도대금 은닉 후 위장 전입해 체납처분 회피한 혐의를 받은 B 씨는 자택 소파 등받이에 수표 4000만 원을 숨겼지만 국세청 직원들의 ‘매의 눈’을 피해가지 못했다.
C 씨는 본인 소유의 부동산을 양도하고 매매대금을 빼돌려 배우자 명의로 고급아파트를 구입해 호화생활을 누렸다. C 씨 집 금고와 옷장 안 가방에서는 현금 2억2000만 원과 고가의 외제 손목시계 등이 발견됐다.

고미술품 수집·감정가인 D 씨는 종합소득세 등 80억 원대 세금을 내지 않았다. 그는 고가의 미술품을 자녀가 대표자로 있는 미술품 중개법인 등에 보관하는 방법 등으로 재산을 은닉하다가 덜미를 잡혔다.
국세청은 이 같은 방법으로 올해 10월까지 1조5752억 원의 세금을 징수하거나 조세 채권을 확보하는 성과를 냈다.
국세청이 11일 공개한 올해 고액·상습 체납자 2만1403명 명단에 따르면, 가장 많은 세금을 내지 않는 개인은 유지양 전 효자건설 회장(56)으로 상속세 446억8700만 원을 체납했다.
두 번째는 신동진 전 이프 실대표자로 체납액은 392억 원, 세 번째는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81)으로 양도소득세 등 368억7300만 원을 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상나(49)·유혁기(45)·유섬나(51) 등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 일가는 증여세 등 115억4300만 원의 내지 않았다.
연예인 중에는 가수 구창모 씨가 양도소득세 등 3억8700만 원을 내지 않았고, 탤런트 김혜선 씨도 종합소득세 등 4억700만 원을 체납했다.
최정아 동아닷컴 기자 cja0917@donga.com
비즈N 탑기사
- 도로에 쏟아진 맥주병…맨손으로 치운 여학생들 (영상)
- ‘만5세 입학’ 논란인데…교육감 단체성명 없는 까닭은?
- 동생 돌봄받는 아기가된 13세 금쪽이…이상행동에 스튜디오도 충격
- “나 돈 많아” 서울 주택가에 2200만원 뿌린 이라크인
- 광장시장 김밥 먹고 댓글엔 하트…CNN ‘韓 가상인간 열풍’ 조명
- “짬뽕값 못 드려 죄송” 뒤늦게 중국집 주인에 빚갚은 시민
- “엄마 나 폰 액정 깨졌어” 메신저 피싱 조직 무더기 검거
- 13억 이어 연금복권…같은 가게서 복권 2번 당첨된 美 행운남
- 강남 한복판 상의탈의男-비키니女, 결국 경찰조사 받는다
- 배슬기, 폭우 피해 근황 “집이 무너지고 있음”
- 115년만 폭우에 유통업계 ‘날벼락’…별마당도서관도 누수
- “한국여행객 압도적 1위”…한국인 몰리는 해외여행지는? [여행라이브]
- 네카오 토종 SNS, 인스타-틱톡과 ‘영토싸움’
- 하룻밤새 폭우로 4800대 침수…보험사 손해액 660억원 육박
- PC방 “임대료 270만원인데, 전기료 350만원”…소상공인 ‘전기료 한숨’
- 한전, 2분기 영업적자 5조 원 이상 예상…전기료 인상 필요성 커져
- 침수차 6800대…이런 경우 보험금 못 받는다
- 금리 인상 끝이 보인다? …신흥국 주식·채권 펀드로 자금 유입
- “다시 내리막 오나”… 웃지 못하는 정유업계
- 편의점 “MZ세대 잡아라”… 유튜브 경쟁에 콘서트 열고 트렌드 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