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엑스포 유치 통해 국제도시로”

박은서 기자

입력 2016-10-27 03:00 수정 2016-10-27 03:00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2030 세계박람회’ 본격 도전 나서

 
2002년 12월 세계박람회기구(BIE·Bureau International des Expositions)는 모나코에서 ‘2010년 세계박람회’ 개최지 선정 투표를 실시했다. 후보지 중 한 곳이었던 대한민국 여수는 중국 상하이에 밀려 아쉽게 고배를 마셨다.

 그로부터 21년 후인 2023년, 또 한 차례의 세계박람회 유치전에 국내 도시가 뛰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시가 ‘2030년 세계박람회’ 유치에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부산시는 7월 2030년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한 계획서를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하는 등 유치전을 본격화하고 있다.

○ 새로운 경제 모멘텀, 등록박람회

 세계박람회는 올림픽, 월드컵과 함께 이른바 ‘빅3’ 국제 행사로 꼽힌다. 특히 2030년 세계박람회는 등록박람회로 아직까지 국내에서 개최하지 못한 행사다.

 세계 박람회는 5년마다 열리는 등록박람회와 그 사이에 한 차례 열리는 인정박람회로 나뉜다. 인정박람회는 특정 주제를 선정해 3개월가량 개최하는 반면 등록박람회는 광범위한 주제를 선정해 6개월간 개최한다는 차이가 있다. 1993년 대전엑스포와 2012년 여수엑스포는 인정박람회였다.

 비용 분담 방식도 다르다. 인정박람회는 개최국이 국가관을 건설해 참가국에 무료로 임대한다. 하지만 등록박람회의 경우 개최국은 부지만 제공하고 참가국이 자비로 국가관을 건설한다. 등록박람회는 전시 면적에서도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에 훨씬 규모가 크다. 엑스포 중에서도 ‘본 행사’격인 셈이다.

 부산시가 엑스포 유치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것은 이런 대규모 행사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2014년 서병수 당시 부산시장 후보는 엑스포를 공약사항으로 제시했다. 서병수 시장은 “저성장 체제의 장기화, 잠재성장률 저하, 고령화 심화 등으로 성장 동력이 약화됐기 때문에 새로운 계기가 필요하다”며 “등록박람회는 개최기간이 길고 투자 대비 경제적 효과가 커 재도약의 ‘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열린 밀라노 엑스포는 30억 유로(약 3조6900억 원)를 투자해 총 440억 유로(약 54조 원)의 경제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두희 산업연구원 지역발전연구센터 지역정책팀장은 “중국 상하이는 2010년 엑스포를 통해 인프라를 구축하면서 국제도시로 도약했다”며 “엑스포는 부가가치 효과가 특히 높다”고 설명했다.

○ 인프라 갖춘 부산, 유치 열기도 높아져

 부산은 이미 고속철도(KTX), 크루즈 항만, 고속도로를 갖추고 숙박·관광시설이 구축돼 있어 사회간접자본 투자비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6월 정부가 발표한 김해공항 확장 계획도 관람객 유치 측면에서 호재다.

 부산시와 지역 시민들은 2023년 부산 등록박람회 유치 로드맵을 실행에 옮기고 있다. 지난해 7월 정·관계, 경제계, 사회·문화·시민 단체 등 734명이 참여한 ‘2030 부산등록엑스포 유치 범시민추진위원회’가 출범했다. 지난해 10월 말부터는 ‘100만인 서명운동’을 진행하기도 했다. 오성근 범시민추진위원회 집행위원장은 “1년 전과 비교해 많은 시민들이 엑스포 개최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며 “6월까지 139만 명이 서명운동에 참여하는 등 열기가 느껴진다”고 말했다.

 다음 달 2일엔 서울 영등포구 국회 의원회관에서 ‘월드엑스포를 통한 국가와 도시 발전’을 주제로 콘퍼런스도 연다. 부산시는 내년 초 국제 행사 타당성 조사를 받는다. 정부의 최종 승인 절차는 내년 7월이다.

박은서 기자 clue@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