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수요 억눌렀지만 공급도 ‘실종’…매물잠김 언제까지

뉴시스

입력 2018-09-26 09:26 수정 2018-09-26 09:27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정부가 9.13 부동산종합대책에 이어 9.21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방안까지 내놓자 서울 부동산 시장은 ‘관망세’로 접어 들었다.

연이은 부동산대책에 하룻밤 새 호가가 1억원씩 뛰고 집주인이 계약을 파기하는 등 이상 현상은 잠잠해졌다. 하지만 규제를 앞두고 거래가 급격하게 늘어나 당분간 ‘거래절벽’이 불가피해졌다. 공급난에 집값이 다시 꿈틀거리는 이른바 ‘학습효과’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26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이달 20일까지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은 7만4510건에 그쳐 전년 1~9월 8만5397건 대비 12.7%가 적다.

지난 4월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 시행에 앞서 3월 거래량이 전년 같은달(6658건) 대비 2배 수준인 1만3819건까지 불어난 뒤 ▲4월 6208건(전년대비 -19.7%) ▲5월 5461건(-46.4%) ▲6월 4761건(-66.7%) ▲7월 5546건(-61.6%) ▲8월 7407건(-49.5%)으로 전년 수준을 밑돌고 있다.

하지만 최근들어 분위기가 바뀌었다. 이달 1~20일 신고된 거래건은 9997건으로 20일만에 지난해 9월 한달 거래량(8231건)을 넘어섰다. 정부가 규제 발표 예고에 7~8월 거래 쏠림이 나타난 것이다.

규제에 앞서 거래량이 급하게 늘어난 것은 종합부동산세 강화 등에 따른 세금 부담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정부는 9·13 대책을 통해 3주택 이상 보유자와 조정대상지역 2주택 이상 보유자를 대상으로 종합부동산세율을 0.1~1.2%포인트 인상하는 등 세제 강화에 나섰기 때문이다. 또 대출 규제 시행에 앞서 주택 수요자들의 거래 속도도 빨라졌다.

반면 여전히 일부 다주택자들은 임대사업자 등록을 통한 ‘장기전’을 선택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8월 한 달 동안 임대사업자 등록 신청자는 8538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5.3% 늘었다. 기존 주택의 매물잠김 현상이 지속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아직까지 공급 감소에 따른 우려는 크지 않다. 신규 주택공급이 늘면서 기존 주택 거래 감소분을 일부 해소하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내달부터 12월까지 3개월 간 서울 입주 예정 아파트는 2만526가구로, 전년(5321가구)보다 5배 수준이다. 4분기(10∼12월) 기준 2005년 이후 가장 많은 규모다.

정부에서도 실수요자들의 불안심리를 해소하기 위해, 수도권 30만 호 공급계획을 발표한 상황이다. 다만 공급물량이 나오는 시기가 2021년이어서 단기적으로는 집값에 영향을 미치기 어려운 데다, 이번 집값 대란 사태에서 보듯 꾸준한 서울의 주택 수요를 감당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함영진 직방 미디어랩장은 “정부 규제 이후 호가를 낮춘 조정 매물이 출현 중이지만 아직까지 충분한 양은 아니다”라면서 “매수자도 대출이 막혀서 거래가 쉽지 않다보니 연말까지 매물잠김 현상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매물잠김 상황에서 단기 과열이 나타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그동안 정부 규제 발표로 거래량이 늘고, 이후 거래절벽 현상이 나타나다 늘어나는 주택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집값이 급등하는 현상이 되풀이 돼 왔다.이른바 ‘학습효과’다.

함 랩장은 다만 “수도권 공급 물량이 많고 수요 측면에서도 대출 규제와 투기지역 지정 등으로 수요자들이 원하는 지역은 대출이 쉽지 않기 때문에 올해 안에는 (단기 과열로 이어지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전문가 칼럼



부자동 +팔로우, 동아만의 쉽고 재미있는 부동산 콘텐츠!, 네이버 포스트에서 더 많이 받아보세요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