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까지 34초… 유료VOD 짜증나는 광고 더 길어졌다

신동진 기자

입력 2018-11-21 03:00 수정 2018-11-21 03:00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통신사 IPTV 이중으로 돈 벌어, ‘30초 이하’ 자체 기준 스스로 어겨
방통위 “규정 없어 규제 못한다”


통신3사가 인터넷TV(IPTV) 유료 주문형비디오(VOD) 앞에 붙이는 ‘프리롤 광고’(동영상 시작 전 광고)의 총량 제한 가이드라인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와 시민단체 등에서 시청자 권익 침해 문제를 꾸준히 지적해왔지만 VOD 광고가 법에 규정이 없는 사각지대라는 핑계로 규제 당국도 손놓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18년 유료방송 서비스 품질평가’에 따르면 IPTV에서 유료 VOD를 구매한 뒤 동영상이 재생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34.1초로, 2011년(22.3초)보다 약 12초(53%) 길어졌다. 첫 화면이 나올 때까지 광고 횟수는 평균 1.88회로, 2011년(0.7회)보다 1회 이상 늘었다. 과기정통부는 “유료방송 VOD 광고 편성이 확대돼 콘텐츠 시작 시간이 2배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IPTV업체들이 스스로 만든 광고 운영 가이드라인도 준수하지 못하는 수치다.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는 IPTV VOD에서 지나친 광고 노출을 막고 시청자를 보호하기 위해 ‘유료 VOD 광고총량이 30초를 넘지 않도록 한다’는 규정을 두고 있다. 하지만 조사결과 IPTV 유료 VOD 광고시간은 평균 30초가 넘었고 최대 90초인 경우도 있었다.

유료 VOD 광고는 시청자가 돈을 내고 구매한 콘텐츠임에도 ‘건너뛰기’를 할 수 없어 의무적으로 봐야 하기 때문에 이중 수익 또는 시청권 침해라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참여연대는 2016년 “통신3사가 월정액 및 VOD 이용료에 광고 수입까지 벌어들이면서 이용자들에게 피해를 전가하고 있다”며 방송통신위원회와 미래창조과학부(현 과기정통부) 등에 신고했다. 지난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감에서도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이 “네이버 등 인터넷으로 VOD를 구매할 경우 광고가 붙지 않는데 IPTV는 유료 VOD에도 광고를 붙여 이중 수익을 얻고 있다”고 지적했다.

VOD 이용이 늘면서 통신사가 벌어들이는 수익은 급증하고 있다. 통신3사의 유료 VOD 수신료 매출액은 2013년 3260억 원에서 2017년 5902억 원으로 4년 새 80%가 늘었다. 이외에도 프리롤 광고를 붙여 얻는 수익만 해마다 700억∼800억 원(무료 VOD 포함)에 이른다. 광고업계 관계자는 “유료 VOD 광고는 고객들의 구매력이 있고 타깃 효과가 좋기 때문에 광고주 선호도가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IPTV업계는 양질의 콘텐츠를 저렴하게 공급하기 위해 부득이한 조치라고 해명한다. 하지만 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VOD는 정규 편성이나 극장 개봉으로 이미 한두 차례 경제적 이익을 획득한 뒤 2, 3차로 재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과도한 광고는 규제해야 한다”면서 “유료 VOD에 광고를 붙여 장사하는 것은 소비자를 우롱하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지상파 역시 유료 VOD 광고 수익 일부를 통신3사와 나눠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 방통위 관계자는 “유료 VOD 광고에 대한 이용자 불만이 많지만 VOD와 OTT(동영상서비스) 등 새로운 유형 서비스가 아직 법제화되지 않아 규제할 방도가 없다”고 말했다.

신동진 기자 shine@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