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 질주에…국내 완성차 내수시장마저 제자리
뉴시스
입력 2018-12-06 10:20:00 수정 2018-12-06 10:22:23

국내 시장에서 수입차 선호 현상이 한층 강해졌다. 국내 완성차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것과 대비된다.
6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차 신규등록 대수는 2만2387대로 전월 대비 7.6% 늘었다. 1년 전에 견줘서도 0.5% 증가했다.
올해 들어 11월까지 수입차의 신규 누적 등록대수는 24만255대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3.0% 증가했다. 이런 추세대로라면 올해 수입차 판매량은 처음으로 25만대를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브랜드별로 메르세데스-벤츠가 7208대를 팔아 2개월 연속 1위 자리를 지켰다. BMW 2476대, 폭스바겐 1988대, 렉서스 1945대, 도요타 1928대 등의 순으로 판매량이 많았다.
이에 반해 국내 완성차 5개사가 11월 국내 시장에 판 자동차는 13만9862대로 전달(13만9557대)로 거의 비슷했고 작년과 비교하면 되레 500여대 줄었다.
국산차 성장이 멈춘 사이 수입차가 국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는 셈이다.
현대·기아자동차도 예외는 아니다. 3분기 실적에서 ‘어닝 쇼크’를 기록한 현대·기아차는 해외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는 것은 물론 내수 판매도 극심한 정체가 이어지고 있다.
현대차는 11월 국내 시장에서 전년 같은 기간보다 0.4% 증가한 총 6만4131대를 판매했다.기아차는 레저용 차량 판매가 감소하며 0.7% 줄어든 4만8700대가 팔렸다. 11월까지의 누계 실적은 3%가량 증가했다.
안팎서 주춤하며 올해도 연간 판매목표 달성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다.현대차와 기아차는 올해 각각 467만5000대와 287만5000대 등 755만대를 판매하겠다고 밝혔지만 지난달까지 674만7636대 팔았다. 12월에도 판매량이 비슷할 경우 연간 판매량은 당초 목표치의 97~98%가량에 머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럴 경우 4년 연속 목표 미달이다.
업계 관계자는 “수입차들이 고급 이미지를 바탕으로 가격경쟁력이 있는 상품을 국내 시장에 확대하고 있다”며 “수입차들의 대대적인 공략으로 국내 완성차업체들이 내수 시장이란 터전을 위협받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디젤 게이트로 폭스바겐이 2년가량 판매를 하지 않다 올해 재개했다”며 “2년간 감소한 수입차 물량이 회복한 정도의 수준으로 수입차 선호 현상이 뚜렷한지는 내년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시스】
자동차 인기기사
- 1벤츠 7인승 밴 ‘V클래스’ 국내 도입…“럭셔리 밴 시장 개척”
- 2“투자자 떠나면 노동자 길거리 나앉아… 일자리 지키는게 우선”
- 3[신차 시승기]견고해진 기아차… 쏘울 부스터·K3 GT ‘돌격’
- 4급변하는 시장에 민첩하게 대응… 글로벌기업, 대규모 공채 없어
- 5기아차, ‘스팅어 알칸타라 에디션’ 출시…가격 3880만원
- 6팅크웨어, 블랙박스 2종 ‘2019 iF 디자인 어워드’ 본상 수상
- 7서장훈 전현무 불편한 관계…왜?
- 8문채원 홍석천 인증샷 보니 머리크기 차이가…
- 9포드코리아, ‘2019 포드∙링컨 아카데미’ 개최
- 10한불모터스, ‘푸조 SUV 데이 전국 시승 행사’ 개최
비즈N 탑기사
- 응급환자들 위해 헌신한 故 윤한덕 센터장에 LG 의인상
- 실수로 액셀 밟아 식당으로 차량 돌진…70대 운전자 입건
- “50% 수익 약속”…‘청년 버핏’ 투자금 사기 혐의로 피소
- 주꾸미·낙지 씹지 않고 ‘꿀꺽’…50대, 기도 막혀 질식사
- 김동성, 심경 고백 “내가 바보 같아서 또 이런 일에…장시호 때랑 똑같아”
- 7평짜리 신혼집에서 만원짜리 결혼반지로 시작했지만… [동정민 특파원의 파리 이야기]
- “안락사 알았으면 기부 안해”…박소연 대표, 동물·시민단체에게 줄고발
- ‘혜은이 남편’ 김동현, 또 사기혐의 피소…“1억 안 갚아, 혜은이도 3000만원”
- 임세원 교수, 끝까지 간호사 챙기다…생전 SNS “이것이 나의 일”
- 아버지에게 자신의 간 60% 이식한 육군 안정환 소령 귀감
- 벤츠 7인승 밴 ‘V클래스’ 국내 도입…“럭셔리 밴 시장 개척”
- 삼성, 미국 소비자 ‘친밀한 브랜드’ 12위…구글·MS 제쳐
- 2월 서울 아파트 계약 ‘총 49건’…10억 이상은 ‘단 3건’
- 해외직구에 밀수죄 적용은 ‘가혹’…형사처벌 대신 과태료
- [신차 시승기]견고해진 기아차… 쏘울 부스터·K3 GT ‘돌격’
- 애플에 3년 앞서고도 묻혔던 ‘심전도 시계’ 살아났다
- “투자자 떠나면 노동자 길거리 나앉아… 일자리 지키는게 우선”
- 서울교대 인근 원룸 월세, 1년새 16.4%↓…홍대에 역전
- 현대重 승자의 저주?… 대우조선 인수에 최대 2조원 넘게 들수도
- 불황이 아니라 양극화…실적이 보여준 2018년 유통업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