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하이브리드車 글로벌 판매 급증… 국산도 반응↑
동아닷컴 정진수 기자
입력 2017-05-17 07:00:00 수정 2017-05-17 07:00:00

일본 자동차 메이커 도요타·혼다가 지난해 글로벌 하이브리드(이하 HEV) 최다 판매실적을 달성했다.
최근 발표된 도요타와 혼다 ‘2016 회계연도(2016년 4월~2017년 3월)’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HEV 판매는 전년대비 14% 증가한 166만대를 기록했다. 3년만에 최다 판매기록을 갱신한 것.
도요타의 일본 HEV 판매는 프리우스 4세대 등 새로운 모델 인기에 힘입어 67만대로 판매량이 4.8% 올랐고, 해외 판매의 경우 라브·야리스·오리스가 유럽 판매를 견인하며 76만대로 26.3% 성장했다.
혼다는 신형 프리드와 오딧세이 미니밴의 신차효과로 글로벌 HEV 판매가 4.0% 증가한 22 만대(일본 20만대)로 2년만에 증가한 모습이다. 기존 양사 최다 HEV 판매실적인 131만대에서 166만대로 약 25.0% 증가했으며, 글로벌 판매 중 HEV 비중은 15.4%를 기록했다.
앞으로 혼다는 20만대 수준으로 글로벌 HEV 판매를 확대하기 위해 신모델 출시와 함께 해외시장 진출 등의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맞춰 올해 하반기 중국시장에 CR-V HEV 모델이 출시되고, 미국에는 신형 클라리티 PHEV 및 HEV 버전과 HEV 전용모델이 판매에 들어간다. 최근 인도와 태국 시장에는 어코드 HEV 모델 판매를 시작했다.
한편 국내에서도 친환경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하이브리드 모델에 대한 판매량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달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국산 하이브리드 차량은 기아차 니로로 1896대가 팔렸다. 니로는 지난해 출시 직후 현재까지 판매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현대차 신형 그랜저 하이브리드도 지난달 1045대의 판매고를 올리며 판매량 2위에 오르는 등 인기를 끌고 있다.
동아닷컴 정진수 기자 brjeans@donga.com
자동차 인기기사
- 1전복 걱정 없는 ‘2층 버스’… 만트럭, 버스 안전기술 시승회 개최
- 2車들의 전쟁, 베이징 모터쇼…눈여겨볼 차·트렌드는?
- 3현대車 G80, 고속도로서 100km 야간자율주행 성공
- 4[르포]19세기말 ‘자동차의 도시’ 리옹을 가다
- 5폴크스바겐 ‘신형 티구안’, 사전계약 개시… “벌써 1000여명 몰려”
- 6쌍용차, 올해 1분기 영업손실 313억원 기록
- 7쌍용차, 올해 1분기 영업손 313억…“수출물량 감소·환율하락 영향”
- 8‘수입차는 못 따라와’… A/S 1위 르노삼성 비결은
- 9기아차, 中전략형 ‘신형 스포티지’로 재공략 나선다
- 10‘데드라인 넘었다’ 한국GM 노사, 임단협 최종 결렬
비즈N 탑기사
- 100대 기업 CEO 평균 연봉 ○○억…10명중 4명은 ‘SKY’ 출신
- 아무리 봐도 보이지 않는 뱀, 어디에 숨어 있나 보니…
- 마요첩? 마요네즈와 케첩 섞어 만든 새로운 소스, 출시될까
- 직장인 10명중 8명 ‘퇴사 경험’…사표 던진 이유, 연령대별 특색 ‘뚜렷’
- 나라별로 금지한 음식 10가지, 도대체 왜?
- [스타부동산]박나래 집 매물로 나왔다…‘나래바’의 운명은?
- “공룡 사고 싶은 사람?”…파리서 공룡뼈 경매
- 달리던 BMW 차량에 또 불…운전자는 안전 대피
- “김기식, 너마저도…” 거듭된 악재에 令 안 서는 금감원
- SKT, ‘통신장애 2시간31분’ 보상액 고작 600~7300원…빈축만
- 현대車 G80, 고속도로서 100km 야간자율주행 성공
- ‘수입차는 못 따라와’… A/S 1위 르노삼성 비결은
- 폴크스바겐 ‘신형 티구안’, 사전계약 개시… “벌써 1000여명 몰려”
- 아무리 봐도 보이지 않는 뱀, 어디에 숨어 있나 보니…
- [부자東 현장]영자의 전성시대 ‘588’…집창촌 지우고 청량리 시대 열까
- ‘무너지는 강남4구’…아파트값 2주째 하락·낙폭 확대
- 공원, 공공기관, 백화점 자리 신흥 주거지로 재탄생
- 전세약세에 강북 갭투자 인기지역도 ‘시들’…“출구전략 비상”
- ‘근로자 휴가지원’ 신청 폭주에…중기부도 ‘진땀’
- 나라별로 금지한 음식 10가지, 도대체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