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 팔려했는데..' 반려견 중성화킨 병원 고소한 프로 농구선수
노트펫
입력 2018-10-12 17:08:45 수정 2018-10-12 17:09:42

[노트펫] 미국 프로농구 선수가 허락 없이 자신의 반려견을 중성화 수술시킨 동물병원에 반려견 정자 판매수익을 손해 봤고, 경비견으로 효용이 없어졌다며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했다고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이 지난 11일(현지시간) AP통신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국 프로농구(NBA) 마이애미 히트 팀 소속선수 유도니스 하슬렘이 지난 9일 미국 플로리다 주(州) 브로워드 카운티 순회재판소에 ‘리더 스페셜 동물병원(LeadER Animal Special Hospital)’을 고소했다.
지난 5월 그의 카네 코르소 반려견 ‘주스’가 밧줄을 삼켜서 이 병원에 데려갔는데, 치료 과정에서 의료진이 견주 허락 없이 주스를 중성화 수술을 시킨 것이 발단이 됐다.
특이한 점은 주인 허락 없이 중성화 시킨 사실 자체보다 대회 우승견의 정액을 수천달러에 팔 계획이었는데, 중성화로 그 수입을 잃게 됐다는 것이 소송 사유였다.
하슬렘 측은 대회 우승견 수준의 카네 코르소 정액 표본은 3500~1만달러(약 396만~1131만원) 가치가 나간다고 주장했다. 이탈리안 마스티프로 유명한 ‘카네 코르소’ 중에서도 우승견 혈통의 강아지들은 마리당 3500~5000달러(396만~566만원)에 팔린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하슬렘은 주스를 교배시킬 계획이었고, 주스를 교배시켜서 보통 강아지 8~12마리 정도를 얻을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게다가 주스가 중성화 수술을 받은 뒤로 “너무 길들여진” 순한 개가 돼서, 하슬렘이 원정경기를 갈 동안 가족 경비견으로 효용이 떨어진 점도 소송 사유로 들었다. 그는 아내와 세 자녀를 보호하기 위해 주스를 조련하는 데 3만달러(3395만원)가 들었다고 주장했다.
하슬렘 선수의 고소에 대한 병원측 입장은 아직 전해지지 않았다. 다만 국제 동물보호단체 ‘윤리적 동물 대우를 위한 사람들(PETA)’ 대변인은 반려견을 치료하고 중성화시켜준 동물병원에게 하슬렘이 소송을 할 것이 아니라 감사해야 한다며, 반려견을 효용가치로 보지 말고 가족 구성원으로 봐달라고 촉구했다.
한편 하슬렘은 마이애미 히트 팀의 포워드로 활약하면서, 올해 200만달러(23억원) 넘게 벌었고 16년 선수생활 기간 동안 번 수입은 5800만달러(656억원)에 달한다고 데일리메일은 전했다.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After a workout it's time to have fun wit wit my Gs. S/O to @maxttran for my new pup(cage). You wouldn't like them when they angry. #king•juice•cage #theysmart #theyloyal
Udonis Haslem(@ud40)님의 공유 게시물님, 2017 3월 13 11:43오전 PDT
* 본 기사의 내용은 동아닷컴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비즈N 탑기사
- 응급환자들 위해 헌신한 故 윤한덕 센터장에 LG 의인상
- 실수로 액셀 밟아 식당으로 차량 돌진…70대 운전자 입건
- “50% 수익 약속”…‘청년 버핏’ 투자금 사기 혐의로 피소
- 주꾸미·낙지 씹지 않고 ‘꿀꺽’…50대, 기도 막혀 질식사
- 김동성, 심경 고백 “내가 바보 같아서 또 이런 일에…장시호 때랑 똑같아”
- 7평짜리 신혼집에서 만원짜리 결혼반지로 시작했지만… [동정민 특파원의 파리 이야기]
- “안락사 알았으면 기부 안해”…박소연 대표, 동물·시민단체에게 줄고발
- ‘혜은이 남편’ 김동현, 또 사기혐의 피소…“1억 안 갚아, 혜은이도 3000만원”
- 임세원 교수, 끝까지 간호사 챙기다…생전 SNS “이것이 나의 일”
- 아버지에게 자신의 간 60% 이식한 육군 안정환 소령 귀감
- 벤츠 7인승 밴 ‘V클래스’ 국내 도입…“럭셔리 밴 시장 개척”
- 삼성, 미국 소비자 ‘친밀한 브랜드’ 12위…구글·MS 제쳐
- 2월 서울 아파트 계약 ‘총 49건’…10억 이상은 ‘단 3건’
- 해외직구에 밀수죄 적용은 ‘가혹’…형사처벌 대신 과태료
- [신차 시승기]견고해진 기아차… 쏘울 부스터·K3 GT ‘돌격’
- 애플에 3년 앞서고도 묻혔던 ‘심전도 시계’ 살아났다
- “투자자 떠나면 노동자 길거리 나앉아… 일자리 지키는게 우선”
- 서울교대 인근 원룸 월세, 1년새 16.4%↓…홍대에 역전
- 현대重 승자의 저주?… 대우조선 인수에 최대 2조원 넘게 들수도
- 불황이 아니라 양극화…실적이 보여준 2018년 유통업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