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소득 평균 461만원…상위 20% 932만원 1년새 10%↑

뉴스1

입력 2019-02-21 14:10 수정 2019-02-21 14:11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고령화로 1분위 중심으로 고령가구 비중 확대”
“2017년 4분기 소득증가 따른 기저효과도”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News1

정부는 21일 발표된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대해 고령화와 취약계층 고용부진으로 저소득층의 소득이 크게 감소했다고 평가했다.

또한 지난 2017년 4분기 소득이 크게 증가한데 따른 기저효과도 1분위(하위 20%) 소득 감소에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다.

기획재정부는 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대해 “분위별로는 1분위 소득이 감소했고 5분위(상위 20%) 소득은 증가했다”고 밝혔다.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18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 소득부문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60만6000원으로 전년동분기 444만5000원보다 16만1000원(3.6%) 증가했다. 실질소득증가율도 1.8% 늘어 지난 2017년 4분기 증가로 전환한 이후 흐름을 유지했다.

그러나 분위별 소득격차는 더 벌어졌다. 지난해 4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47배를 기록하며 2003년 통계 집계 이후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상위 20% 소득을 하위 20% 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양계층간 소득차이를 나타낸다.

지난해 4분기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23만8000원으로 전년동분기 150만5000원보다 26만7000원(-17.7%) 감소했다.

반면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932만4000원으로 전년동분기 845만원보다 87만5000원(10.4%) 증가해 4분기 기준 역대 최고 소득증가율을 기록했다.

정부는 저소득층 소득 감소의 원인으로 Δ고령화 Δ취약계층 고용부진 Δ기저효과를 꼽았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1분위 70세 이상 가구주 비중은 42.0%로 전년동분기 37.0%보다 5.0%포인트(p)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에서 70세 이상 가구주가 차지하는 비중은 13.0%로 2017년 대비 1.4%p 증가했다.

고령화 진전에 따라 1분위 중심으로 근로능력이 취약하고 소득 수준이 낮은 고령가구의 비중이 확대됐다는 것이 기재부의 설명이다.

또 임시일용직과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고용이 부진해 1분위 내 무직가구의 비중이 급증했다고 저소득층 소득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1분위 무직가구의 비중은 55.7%로 전년동분기 43.6%보다 12.1%p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에서 무직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5.5%에서 19.3%로 3.8%p 증가했다.

이어 기재부는 지난해 4분기의 비교대상인 2017년 4분기 당시에는 1분위 소득이 전년동분기보다 10.2% 늘었다며 이에 따른 기저효과도 작용했다고 평가했다.

기재부는 “소득분배 문제의 근원적 해결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일자리 창출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규제개혁, 상생형 일자리 확산, 산업혁신 등 민간 활력제고 방안을 추진하고 저소득층 일자리·소득 지원, 사회안전망 확충 등을 차질없이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세종=뉴스1)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