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노년 저소득층 10명 중 8명, 65세 이후 연금 한 푼도 못 받아…노후 걱정 줄이려면

김윤종기자

입력 2017-06-28 16:42 수정 2017-06-28 16:44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중년과 노년(38~63세)의 저소득층 10명 중 8명은 노후에 국민연금을 비롯해 개인연금, 퇴직연금을 한 푼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28일 감사원의 ‘고령사회 대비 노후소득보장체계 성과분석’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보건사회연구원에 의뢰해 1954¤1979년생 중 소득 분위별로 연금 수령 여부를 추정한 결과 소득 1분위(소득 20% 이하) 중 82.1%는 65세가 됐을 때 국민연금이나 개인연금, 퇴직연금 중 어떤 연금도 받지 못하는 것으로 추계됐다.

소득1분위에서 세 연금 중 하나라도 받는 경우는 17.9%에 불과했다. 저소득층 10명 중 8명 이상은 고령이 돼도 무연금자가 돼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위험성이 크다는 의미다. 소득 2분위(소득 20¤40%) 중에도 이들 연금을 받는 수급자가 48.1%에 그칠 것으로 예측됐다. 이들 계층도 2명 중 1명은 노인빈곤이 우려된다는 뜻이다.

반면 중산층 정도인 소득 3분위(소득 40¤60%)의 국민, 개인, 퇴직연금 수급자 비율은 80.6%, 중상위 계층인 소득 4분위(소득 60¤80%)는 89.3%에 달했다. 최상위 소득 수준인 소득 5분위(소득 80¤100%)는 98.7%가 세 연금 중에서 한 가지 이상을 받을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이번 분석에서는 기초연금이 제외됐다. 기초연금은 연급가입 여부와 무관하게 소득 하위 70%에서 일괄적으로 월 20만 원씩 지급하기 때문에 다른 연금과 성격이 다르다.

청, 장년 시절 빈부 격차로 인한 연금 수급 격차로 한국 고령자의 노후 빈곤이 우려되지만 전체적인 공적, 사적 연금 수급자 비율은 조금씩 개선될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공적, 사적 연금 수급자 비율은 30%였지만 2020년 37.0%, 2030년 42.3%, 2040년 55.5%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은퇴 전문가들은 노후 걱정을 줄이려면 ‘소득대체율 70%, 즉 은퇴 후 소득이 은퇴 전 소득의 70%는 돼야 하기 때문에 청, 장년 시절부터 소득이 적더라도 연금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강조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도 노후를 위한 적절한 소득을 개인 생애소득 평균의 67.9%로 본다.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