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억 넘는 ‘보잉 맥스’ 언제 뜨나…韓 운항금지 3월까지 연장

뉴스1

입력 2020-01-08 08:14 수정 2020-01-08 08:14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지난 2018년 12월26일 오전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에서 열린 ‘이스타항공 B737 MAX8 기종 도입식’에서 승무원들이 축포를 쏘고 있다. (이스타항공 제공) 2018.12.26/뉴스1

두 차례 추락사고 이후 전 세계적으로 운항이 중단된 보잉 737 맥스 기종의 국내 운항이 올해 3월까지 중단된다. 최근 보잉사가 항공당국의 안전승인이 늦어짐에 따라 맥스 기종 생산을 일시 중단하는 등 올해도 운항재개 여부를 판단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올해 해당 기종 투입하려 했던 국내 항공사들도 기재 운용 계획을 수정하거나 대체 기종으로 다른 제조사 기재 도입을 시도하는 등 대응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8일 국토교통부와 항공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달 보잉 737 맥스 기종의 노탐(NOTAM·Notice To Airmen) 시한을 3개월 더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노탐은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당국이 조종사 등 항공 종사자에 보내는 전문 형태의 통지문이다.

연장된 노탐의 발효 일시는 지난해 12월8일 오후 5시21분이며, 종료 일시는 올해 3월1일 오전 8시59분이다. 이번 노탐 연장 결정은 지난해 3월 에티오피아항공 맥스 기종 추락사고 여파로 처음 적용된 이후 세 번째 연장이다. 앞서 지난해 6월과 9월 각각 3개월씩 연장을 시행한 바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최대 3개월씩 유효기간을 둔다”며 “전 세계적으로 맥스 운항 중단 움직임이 유지되고 있어 이번에도 연장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맥스 기종의 운항 재개 여부는 전 세계적으로 불투명한 상황이다. 당초 올해 초 운항재개를 목표로 했던 제조사 보잉도 최근 맥스 기종 생산을 일시 중단한다고 입장을 바꿨다. 보잉은 성명을 통해 “737 맥스의 운항 금지가 생각보다 길어지면서 생산 계획을 재고할 수밖에 없었다”며 “재고물량을 우선 처리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737 생산 프로그램 가동을 중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내 항공사들의 맥스 기종 도입 및 운영 계획에도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먼저 국내에 맥스 기종을 이미 도입해 놓은 이스타항공은 해당 기재 운용 계획을 잠정 보류해놓은 상태다. 현재 대당 1000억원이 넘는 해당 기종을 8개월 넘게 인천국제공항 주기장에 보관 중이다. 이에 따라 보관에 드는 고정비는 물론 사업계획 운영 전반에 차질을 빚으며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는 분석이다.

대체기재 도입으로 선회한 항공사도 있다. 티웨이항공은 당초 2025년까지 보잉 737 맥스 8 10대 이상 도입을 계획했으나 안전성 우려가 지속되면서 다른 중형기 도입으로 방향을 틀었다. 티웨이항공이 새로 도입할 기종은 에어버스의 중장거리용 A330이 거론되고 있다. 이를 통해 호주, 중앙아시아 등 중장거리 진출을 시도한다는 계획이다.

대한항공의 경우 당초 올해 3월29일부터 시작되는 하계시즌에 인천~오키나와 노선에 보잉 737 맥스 투입을 예정하고 있었으나 보잉 737-900 투입으로 계획을 바꿨다.

지난 해10월 대한항공 홈페이지에는 3월29일부터 인천~오키나와 노선에 보잉 737맥스가 투입되는 것으로 나와 있었다. 현재는 737-900 투입으로 바뀐 상태. (대한항공 홈페이지 캡처)© 뉴스1

대한항공은 보잉과 2025년까지 보잉 737 맥스 30대(옵션 20대 제외)를 구매하는 계약을 맺고 지난해 5월부터 인도가 계획돼 있었으나 안전성 확보를 이유로 도입을 미뤄왔다. 전 세계적으로 맥스 기종 운항 재개 시점이 늦춰지고 있어 지난해 말 투입 계획을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 항공업계에선 맥스 기종 재운항 시기를 보다 보수적으로 내다보고 있다. 해당 기종의 안정성이 입증돼 미국 항공당국이 재운항을 승인하더라도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SW) 운항인력 교육 등에 시간을 투자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 국가별 규제 당국의 재운항 허용 시기도 상이할 것으로 보여 국제선 투입은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 일례로 한국에서 맥스의 영공통과가 허용돼도 중국의 허가가 없으면 중국 영공을 통과할 수 없다.

업계 관계자는 ”안전성이 입증된다고 하더라도 대규모 인명피해를 낸 기종을 도입하는 건 항공사들에 여러모로 부담“며 ”조종사들의 시뮬레이션 훈련 등 후속절차도 필요해 신뢰회복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