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수리 먹이주기 중단, 멧돼지 폐사체 섭취 등 부작용 우려

뉴시스

입력 2019-12-16 16:50 수정 2019-12-16 16:51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올해 경기북부 접경지역 돼지를 초토화시킨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매개체로 의심되는 야생멧돼지에 대한 총기포획이 경기도와 강원도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또 다른 매개체로 의심되는 독수리에 대한 먹이주기가 금지되면서 부작용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6일 문화재청과 경기도, 한국조류보호협회 등에 따르면 경기 파주시 장단반도 지역은 매년 겨울 독수리 수백마리가 월동을 위해 찾아오는 곳으로, 자체 사냥능력이 부족한 독수리들이 굶어죽지 않도록 민간단체가 매년 돼지고기 등 먹이를 챙겨주고 있다.

그러나 올해는 경기북부를 중심으로 유행한 ASF 때문에 경남 고성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독수리 먹이주기가 중단된 상태여서 천연기념물 제243-1호인 독수리 보호에 비상이 걸렸다.

현재 파주 장단반도 일대에서 목격되고 있는 독수리는 30여 마리 정도지만, 월동이 본격화되는 1월 하순에는 700~1000마리로 개체수가 크게 늘어난다.

이 때문에 올해도 매년 먹이를 주던 파주지역으로 찾아온 독수리들이 갑자기 먹이를 발견하지 못해 굶주리다 전국 각지로 흩어지질 경우 오히려 ASF를 확산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파주시와 연천군, 강원 철원군 등 접경지역에서는 민통선을 중심으로 ASF에 감염돼 폐사한 야생멧돼지 사체가 꾸준하게 발견되고 있다.

조류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 사체를 독수리들이 먹고 다른 지역으로 날아갈 경우 진정국면을 보이고 있는 ASF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자체 사냥 능력이 떨어지는 독수리는 주로 동물의 사체를 먹고 사는데 ASF로 폐사한 야생멧돼지 사체도 좋은 먹잇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조류보호협회 관계자는 “본격적인 월동이 시작되면 독수리 개체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데 먹이가 없어 흩어질 경우 주변에서 ASF에 오염된 멧돼지 사체를 먹고 이마저 없어지면 더 먼 곳까지 먹이를 구하러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며 “차라리 제한된 지역에서 방역 조치를 취해가며 안전한 먹이를 공급해 감염 가능성을 차단하고 머물게 하는 편이 낫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농림축산식품부와 경기도 등은 독수리가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한 곳에 몰릴 경우 오히려 집단으로 바이러스에 오염될 수 있다고 보고 먹이 공급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독수리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는 문화재청도 입장이 어려워졌다.

환경부가 관리하는 야생멧돼지의 경우 워낙 개체수가 많고 보호종도 아니지만, 독수리는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될 만큼 개체수가 적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앞서 문화재청은 지난 10월 28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환경부, 관계 분야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독수리 먹이주기 관계기관 회의에서 지자체와 민간단체의 독수리 먹이주기 허용 여부 결정을 유보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방역당국의 요청에 따라 현재 민간의 독수리 먹이주기도 모두 금지된 상태”라며 “오는 24일 다시 관계부처와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2차 회의를 갖고 먹이주기 관련 방침을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의정부=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