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2시간, 생산성혁명이 필수다]공기업도 효율적 시간관리 고민 ‘치열’

뉴시스

입력 2019-11-27 10:39 수정 2019-11-27 10:40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LH, '집중근무시간' 회의 지양 통해 업무몰입도 극대화
도로공사, 재충전 기회 제공 통해 생산성 높이기 시도
일부 직종은 근무시간 변경 놓고 갈등…코레일 대표적



지난해 7월부터 ‘주52시간 근무제’를 시행하고 있는 공공기관들도 근로시간이 줄어든 만큼 업무를 더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각종 실험에 나서고 있다.

27일 정부는 주52시간 근로제(근로시간 단축제) 시행 1년5개월을 맞은 현 시점에서 공공기관들은 대체로 정착 단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주무 부처인 고용노동부 이재갑 장관은 지난 18일 브리핑을 통해 “지난해 7월 도입한 주 52시간제는 대기업, 공공기관에서는 정착 단계에 있다”고 말했다.

공공기관 별로 온도차는 있지만 최근에는 정착 단계를 넘어서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각종 실험에 나서고 있다.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인 토지주택공사(LH)는 회의, 보고서 줄이기 등 일하는 방식 개선을 통해 불필요한 초과근로를 줄이면서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

LH는 초과근로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직원들의 개인 PC를 자동 통제하는 관리시스템인 PC-OFF제와 일정한 시간에 일괄 소등(수·금요일 오후 8시, 월·화·목요일 오후 10시)하는 블랙리브(Black-Leave)제를 실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집중 근무를 유도하고 불필요한 초과근로를 줄임으로써 직원들의 만족도를 높였다는 게 LH측 설명이다.

또 내년 연차휴가를 최대 5일까지 미리 사용 가능하게 하고, 올해 미사용 연차휴가를 내년에 이월해 적립(30일한도)할 수 있게 하는 등 직원들의 휴가권을 보장하고 있다.

반면 업무몰입도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하루 4시간 집중근무시간제를 운영하고 있다. 이 시간에는 회의와 개인용무 등을 지양해 업무 몰입도를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LH는 직원들의 기본근로시간(주40시간)을 개인별로 맞춤설계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을 활용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한국도로공사도 출근시간을 일정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 있는 시차출퇴근제, 주 40시간 범위 내에서 하루 근무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하는 근무시간선택제 등을 통해 불필요한 초과근로 시간 줄이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 같은 유연근무제에 대한 직원들의 호응은 매우 높은 편이다. 실제로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작년 기준으로 공기업 중에 유연근무제 이용률 1위를 차지했다.

한국도로공사는 또 직원들의 업무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집중근무시간제를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업무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또 다른 방안은 직원들의 재충천 기회를 최대한 보장하는 것이다.

도로공사 관계자는 “직원들의 근무의욕을 고취시키고 재충전의 기회를 제공하는 게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며 “매년 휴가 활성화 방안을 수립·시행해 연차휴가 사용률을 지속적으로 향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업종 특성상 일부 직종의 경우 특정 기간 동안 주52시간 초과근로가 불가피한 경우도 있다. 도로공사의 경우 제설 업무가 대표적이다.

한국도로공사는 기타운송 서비스업종에 해당하기 때문에 주52시간제 특례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사 합의에 의해 제설 대책 기간에는 해당 업무 종사자에 한해 주52시간 초과 근로를 실시하고 있다.

한국철도시설공단도 시차출퇴근제 등의 유연근로제를 운영하며 주52시간 근로제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철도시설공단 관계자는 “직원들의 불필요한 야근은 줄이고 업무시간 효율성을 높이는 식으로 문화를 바꿔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부 공공기관의 경우 주52시간제를 시행하기 전에도 초과 근로시간이 거의 없었던 부침 없이 제도 적응에 성공했다는 반응도 나온다.

공공기관의 한 관계자는 “공공기관은 민간기업에 비해 근로시간이 적기 때문에 주52시간 제도 시행 전에도 직원들의 초과 근로는 거의 없었다”라며 “이에 따라 근무 제도를 바꾸는 등 새롭게 시도할 것도 없었다. 민간기업에 비해 근로시간이 적지만 대신 연봉도 적지 않느냐”라고 말했다.

실제로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최근 직장인 68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직장 만족도 조사에서 공기업·공공기관 그룹이 대기업 그룹, 중소기업 그룹에 비해 ‘근로시간이 적다’는 답변 비율이 가장 높았다.

하지만 근로시간을 둘러싸고 진통을 겪고 있는 공공기관도 있다. 대표적인 곳이 한국철도공사(코레일)다.

한국철도공사는 정비·점검 업무를 하는 인력 약 1만1000여명의 근무체계를 바꾸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지난 수년간 철로 위에서 작업하던 노동자가 열차에 치여 사망하는 일이 반복되자 이들의 노동시간을 단축해야 한다는 데 공감하면서다.

현재 3조2교대제인 근무체계를 4조2교대제로 바꾸는 데에는 노사가 합의한 상태다. 하지만 근무체계를 바꾸는 데 필요한 인력규모를 두고 논쟁이 거듭되면서 노사가 대치하고 있는 상황이다.

급기야 철도노조는 지난 20일부터 25일까지 총파업을 벌이는 등 노사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진 상태다.

정부는 많은 인원을 증원하게 되면 비용 부담이 큰 많은 적정 증원 규모를 두고 깊은 고민에 빠졌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21일 이와 관련, “철도노조는 4654명의 인력증원을 요구하고 있다”며 “이는 인력을 41.4%나 늘리고 인건비도 4421억원 증가시키는 등 큰 비용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