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용 이어 사람용 구충제까지…알벤다졸에 암환자들 들썩

뉴스1

입력 2019-11-22 15:42 수정 2019-11-22 15:42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사람용 구충제 알벤다졸의 항암효능을 강조하는 내용이 담긴 유튜브 동영상 모습.(사진 유튜브 영상 캡처)

동물용 구충제 펜벤다졸에 이어 사람용 구충제 성분인 알벤다졸의 품귀 현상을 벌어지고 있다. 알벤다졸의 항암 효능을 연구한 8년 전 의학 보고서가 최근 온라인 카페에 올라오면서 구충제를 찾는 암 환자들이 늘었기 때문이다.

기생충을 죽여 감염증을 치료하는 약이 암세포를 억제하는 항암제로 둔갑한 것을 두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지만,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암 환자들 처지를 생각해야 한다는 반응도 적지 않다.

22일 의약계에 따르면 펜발다졸이 꿈의 항암제로 주목받고 있을 때 알벤다졸에 대한 암 환자들의 관심도 부쩍 많아졌다. 기생충을 죽이는 비슷한 성분의 의약품인데다 환자들 믿음을 뒷받침할 의학 보고서까지 있다 보니 날개 돋친 듯 구충제가 팔려나간 것이다.

알벤다졸(albendazole)은 다양한 기생충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물이다. 사람용 구충제여서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손쉽게 구매할 수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일부 약국은 구충제 재고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알벤다졸 열풍의 근원지는 지난 2011년 김영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가 발표한 의학 보고서다. 이 보고서에는 실험용 쥐를 이용해 알벤다졸 항암 효과를 검증한 내용을 담았다. 하지만 알벤다졸이 암 성장을 억제할 뿐 암세포 자체를 죽이는 내용은 아니다.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하지 않았고, 암세포 자체를 죽이는 것도 아닌데도 펜벤다졸을 대체할 항암제로 암 환자들의 기대를 받는 상황이다.

구충제의 항암 효과를 검증한 또 다른 국내 연구는 남정석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교수가 주도했다. 연구팀은 구충제 성분인 니클로사마이드가 윈트(Wnt) 신호를 억제해 암 줄기세포 형성과 증식을 제어하는 현상을 발견하고 작용기전을 연구했다.

사람과 유사한 염증성 대장암 동물모델과 환자유래 암조직을 이식한 동물모델에서 니클로사마이드 우수한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니클로사마이드는 열두조충증과 막양조충증 등 촌충 감염을 치료하는 약물로 1958년 개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국내에서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하고 품목허가를 받은 건 아니어서 암 치료 목적으로 복용하는 건 주의가 필요하다.

국내에서 항암제로 품목허가를 받으려면 3단계 임상을 거쳐 안전성과 유효성 등을 평가받아야 한다. 하지만 이들 구충제는 사람을 대상으로 항암 효능을 검증하지 않았고 알려지지 않은 독성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암 환자들의 관심이 부쩍 높아지면서 동영상 서비스인 유튜브에 알벤다졸의 효능을 강조하는 영상들도 속속 올라오는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전문가들은 우려의 목소를 내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서울 대학병원 한 교수는 “임상을 진행하고 부작용 문제를 검증하지 않은 약물로 암을 치료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며 “어렵더라도 의사 처방을 따라 치료받는 게 안전하다”고 말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도 “알벤다졸은 구충제로 암 효능을 검증하지 않았고 장기간 복용할 때 발생하는 안전성도 담보하기 어렵다”고 우려했다.

(서울=뉴스1)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