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소·부·장 협력사업, 중기투자 1800억·추가고용 330명 예상”

뉴시스

입력 2019-11-20 14:52 수정 2019-11-20 14:53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제2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
"원상회복 위한 일본측의 진전된 조치 촉구…양국에 피해"
"日 수출제한 조치 끝나도 핵심품목 항구적 공급 노력 지속"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소재·부품·장비 등 핵심품목 분야와 관련, 4건의 수요·공급기업간 협력사업을 승인하고 “이에 따라 향후 5년간 중기투자 1800억원, 추가고용 330명 수준이 뒤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오후 경기 안산시 소재 율촌화학에서 열린 ‘제2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에 참석해 이같이 말한 뒤 품목에 따라 다르지만 해당 소재·부품에 대한 국내 수요의 최대 60% 수준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효과가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위원회는 이날 ▲이차전지 핵심소재를 개발해 연 3000t(톤)을 생산하는 협력사업 ▲수입의존도가 90% 이상인 반도체 장비용 부품 개발사업 ▲자동차·항공 등 핵심소재인 고품질 산업용 탄소소재 생산사업 ▲전량 수입중인 전자부품 핵심소재에 대한 기술개발 및 공급사업 등 제1차 수요·공급기업간 협력사업(모델) 4건을 발표했다. 이 사업들에 대해서는 연구·개발(R&D), 정책자금, 규제특례 등 패키지 지원이 이뤄진다.

홍 부총리는 ”주로 공공 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초·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이 합께 해당 소재·부품의 기술개발, 상용화 테스트까지 연계해 일괄 추진하는 협력모델“이라며 ”이 4개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경우 해당품목들의 공급 안정화는 물론 고용·투자 측면에서도 긍정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산학연 융합을 통한 소재·부품·장비 기초·원천 기술 조기확보를 위해 포트폴리오(Portfolio)·파이프라인(Pipeline)·프로세스(Process)·플랫폼(Platform) 등 4P 전략을 추진하겠다고도 발표했다. 산업현장의 수요를 기초연구 현장에 적극 반영하기 위해 산학연간 유기적 연계를 강화하고, 칸막이식 사업추진 체계를 벗어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원천 기술개발이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기업벤처부의 상용화 기술개발로 연결되는 ‘부처간 R&D 이어달리기’ 체계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또 특허기반 연구개발(IP-R&D)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내년까지 3개 정부부처에서 500개 가량의 IP-R&D 과제를 확대하고, 민간 R&D의 경우 기업 성장단계별 맞춤식 지원을 실시할 계획이다. 홍 부총리는 ”산학연관 IP-R&D 협력체계 구축, 전문기관 육성, 인력양성 등 확산기반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대·중소기업 상생모델 발굴방안,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 대책 이행현황 점검 등 안건도 다뤄졌다.

한편홍 부총리는 일본의 수출제한 조치와 관련, ”현안 사안이 마무리된 이후에도 (소재·부품·장비 등) 핵심품목의 항구적 공급 안정화를 위한 우리의 노력은 한 치의 흔들림 없이 지속될 것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고 했다. 일본을 향해서는 ”한일 양국에 공히 피해를 초래함은 물론 글로벌 밸류체인(GVC)을 현격히 악화시키는 것으로 원상회복을 위한 일측의 진전된 조치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의 조치가 발표된 이래 그간의 경과에 대해 ”현재까지 기업들의 소재·부품·장비 수급상황 및 생산활동에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특히 ”공장 신·증축 등을 통한 불산액, 불화수소가스 등 일부 핵심품목의 국내생산 확대도 지속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불산액의 경우 생산물량이 수요기업 일부공정에 신규로 투입중“이라며 ”또 미국·독일의 소재분야 회사들이 반도체 소재개발 및 생산시설 투자를 검토하는 등 해외기업의 국내투자 또한 가시화되는 과정“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2732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 집행과 소재·부품·장비 특별법 개정 등 대책들도 차질 없이 추진 중“이라고 덧붙였다.

[안산=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