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떠난 자리에 전기차 클러스터…文, 군산형 일자리 격려

뉴시스

입력 2019-10-24 17:57 수정 2019-10-24 17:57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文대통령, 전북 군산 방문해 일자리 상생협약식 참석
전기차 클러스터 조성…4122억원 투자, 1900명 일자리 창출
중소·중견 업체가 중심…완성차-부품업체 수평적 협력 모델
文 "군산, 노사민정 대타협에 전기차 메카로 우뚝 설 것"
"군산은 아픈 손가락…양대 지역 노총 참여가 시민에 희망 줘"
광주·밀양·대구·구미·횡성·군산 등 6곳서 상생형 일자리 협약
투자 2조1300억원에 직접 일자리 5200명 창출 예상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전북 군산을 방문해 현 정부 들어 6번째로 체결된 상생형 지역 일자리 협약을 격려했다. 이번 협약으로 한국GM 공장 폐쇄 이후 어려움을 겪었던 군산은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 주력 산업을 전환한다. 2022년까지 4122억원이 투입돼 전기차 클러스터가 조성되고 19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전기차 기업 명신의 군산 공장에서 열린 ‘전북 군산형 일자리 상생협약식’에 참석했다. 노사민정 합의 주체인 양대 노총 군산시지부와 5개 전기차 완성차 기업 및 부품 기업 노사 대표, 정부 관계자, 군산시민 등 600여명이 협약식에 참석했다.

군산형 일자리는 광주, 밀양, 구미, 횡성, 대구에 이어 현 정부 들어 6번째 상생형 일자리 모델이다. 군산·새만금 산단에 2022년까지 총 4122억원을 투자해 전기차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직접 일자리 1900여명을 창출하는 프로젝트다.

명신, 에디슨모터스, 대창모터스, MPS코리아 등 전기차 관련 업체들이 2개의 컨소시엄을 구성해 투자에 참여한다. 기존 상생형 일자리 모델과 달리 중소·중견기업이 중심이 되고 완성차-부품업체가 수평적으로 협력하는 모델이라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협약식이 열린 명신 군산공장은 지난 3월 폐쇄된 한국GM 공장을 인수한 곳이다.

또 군산형 일자리에는 민주노총이 논의 초기부터 기업 유치, 완성도 높은 상생협약 마련 등 전 과정에 참여했다.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등 양대 노총이 참여하는 최초의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이다. 기준임금의 가이드라인을 정하는 ‘지역 공동교섭’이 전국 최초로 시작됐고, 사업장별 임금 격차를 최소화하는 적정임금 체계가 마련됐다.


문 대통령은 이날 협약식에서 축사를 통해 “군산은 전기차 육성을 위한 최적의 장소”라며 “자동차융합기술원과 새만금 자율주행시험장과 함께 자율자동차 테스트베드가 건립되고 있으며, 군산대학교에서는 전기차 전문 인력이 자라고 있다. 전기차 개발 시험과 양산에 매우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규모는 작지만 강한 기업들은 군산형 일자리의 또 다른 강점이다. 명신, 에디슨모터스, 대창모터스, MPS코리아는 전기 승용차, 버스와 트럭, 전기 카트 등 거의 전 품목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며 “지역의 신산업 육성 의지, 노사민정의 대타협, 정부의 지원이 더해져 군산은 전기차 메카로 우뚝 서게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행사 시작 전 환담에서 양대노총이 이번 군산형 일자리에 참여한 점을 높이 평가하며 타협 주체들을 격려했다.

문 대통령은 “그동안 군산이 제일 아픈 손가락이었다”며 “이번 군산형 일자리는 특히 양대 지역 노총이 함께 참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군산 시민들에게 적지 않은 희망을 주리라 믿는다”고 평가했다.

또 중소기업 중심으로 원·하청 간 수평적 관계를 만든 점을 높이 평가하면서 “지금의 관계(노사민정 간 상생의 관계)를 잘 유지해 빠른 성장은 물론 다른 지역에서도 상생형 일자리 모델이 확산되길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환담에 모인 모든 참석자들은 노사민정이 함께 이뤄낸 오늘의 성과를 축하하며 앞으로도 힘을 모아 군산을 새롭게 도약시키자는 데 뜻을 모았다”고 전했다.


지난 1월 광주형 일자리 투자협약식으로 시작된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은 약 9개월 만에 밀양(6월), 대구(6월), 구미(7월), 횡성(8월), 군산(10월) 등으로 확산됐다.

각 지역 상생 일자리 사업의 특징도 명확하다.

광주의 경우 최초의 상생형 지역 일자리라는 선도 모델을 만들었고, 밀양은 산업 단지 이주를 둘러싸고 오랫동안 지속됐던 주민과의 갈등을 해소하면서 뿌리 산단을 조성했다.

대구의 경우 기업은행의 금융 지원과 노사 합의를 통해 새 임금 체계를 도입했고, 이를 통해 지역 기업이 부활했다. 구미는 해외 투자 대신 국내로 투자를 돌린 ‘리턴 기업’이 참여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횡성은 자동차 부품 기업들이 공동으로 참여해 중소기업 협업형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새로운 모델을 만들었다.

청와대는 6개 상생형 지역 일자리 프로젝트를 통해 향후 2조1300억원의 투자와 5200명의 직접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간접고용을 포함할 경우 1만5000명 이상의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