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원전 ‘공극·누유·철판부식’…부실시공이 원인 결론

뉴시스

입력 2019-10-02 10:54 수정 2019-10-02 10:54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민관합동조사단 "제3자 방식의 구조물 건전성 평가 필요"
영광군, 원전 안전문제 직접 참여 요구 '군수 직속기구' 설치 건의



전남 영광 한빛원전에서 발견된 공극(구멍)과 윤활유(그리스) 누유, 철판 부식 등은 모두 부실시공이 원인으로 결론 났다.

한빛원전 민관합동조사단은 지난 1일 영광군청 대회의실에서 군민보고회를 갖고 이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2일 밝혔다.

민관합동조사단은 지난 2017년 9월 국무총리실과 산업통상자원부, 전남도, 한국수력원자력을 비롯해 150여 기관·사회단체를 포함한 영광군범군민대책위원회로 구성됐다.

조사단은 지난 2년간 한빛원전 격납건물의 방사능 유출 방지용 내부철판(CLP) 부식과 콘크리트 공극 발생 원인 등에 대해서 조사해 왔다.

콘크리트 구조물 조사결과에서는 한빛 3·4호기를 중심으로 총 224개의 공극과 그리스 누유 38곳이 발견됐으며, 원인은 모두 부실시공으로 파악됐다.

공극 발생은 공통적으로 격납건물 내부철판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설치한 철제 구조물 ‘보강재’ 아랫부분에서 집중됐다.

보강재를 먼저 설치하고 위에서 콘크리트를 붓는 과정에서 다짐작업을 제대로 하지 않아 공극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리스 누유는 원전을 잡아주는 시스관(sheath tube·금속제 튜브)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 틈새나 시공 이음부를 통해 흘러나온 것으로 조사됐으며, 공기 단축을 위한 무리한 설계 변경과 부실한 작업 감독이 근본 원인으로 밝혀졌다.

한수원은 자체 평가 결과 공극과 그리스 누유가 원전의 콘크리트 돔 구조물 안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조사단은 ‘제3자를 통한 구조물 건전성 평가가 필요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격납건물 내부철판 부식은 1·2·4호기에서 468개가 확인됐으며, 역시 원전 건설 당시 부실시공이 원인이었다.

철판 교체 후 실시된 방사능 누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종합누설률 시험’ 결과는 ‘만족’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속적인 추적관리가 필요하지만 당장 방사능이 새어 나올 위험은 없다는 것을 뜻한다.

조사단은 한빛원전의 안전문제에 사업장 관할 지자체인 영광군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요구했다.

주민 요구에 의한 제3자 검증, 손해배상 청구권 부여, 주민 동의에 의한 원전 재가동 승인권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안전문제 직접 참여를 위해 영광군수 직속기구인 ‘한빛원전안전위원회’ 설치와 독립기구인 ‘원자력안전국 총괄협의체’ 신설을 제안했다.

조사단은 손실보상의 제도화도 요구했다. 안전사고로 발전소 가동률 저하시 배상 요구권을 부여하고 중대사고시 지역지원금을 제도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현재 한빛원전은 총 6기 가운데 1·3·4호기는 계획예방정비 중이고, 2·5·6호기는 가동 중이다.

한빛원전 관계자는 “콘크리트 격납건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면서 “계획예방정비와 보강공사를 통해 안전성을 더 높여 주민들의 우려를 불식시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영광=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