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7년 두 집 중 하나는 ‘노인 가구’

뉴스1

입력 2019-09-18 13:20 수정 2019-09-18 13:20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추석 연휴가 끝난 16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호노인복지관에서 어르신들이 취미생활을 하며 명절 피로를 풀고 있다. 2019.9.16/뉴스1 © News1 조태형 기자

 2047년이 되면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가 지금보다 3배 가까이 늘어 전체 가구의 절반에 다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18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장래가구특별추계 : 2017~2047’을 발표했다. 추계에 따르면 고령자 가구는 2017년 399만8000가구였으나 2047년에는 1105만8000가구로 총 2.8배가 증가한다.

이 기간 전체 가구 중 고령자 가구 비중은 20.4%에서 49.6%로 늘어, 2047년에는 두 집 중 한 집은 ‘노인 가구’가 되는 셈이다.

2017년 가구주 연령대 중 가장 비중이 높은 것은 50대(24.0%)지만 2047년에는 70대(21.4%)가 된다.

이같은 노인가구 증가 추세는 우리나라에서 특히 빠르다.

국제적으로 비교했을 때 2017년 기준 전체 가구 중 노인 가구 비중은 한국·영국·일본이 각각 20.4%, 28.3%, 37.2%로 한국이 가장 낮고 일본이 가장 높다. 그러나 2040년에는 세 국가가 각각 44.2%, 37.2%, 44.2%로 조정된다. 가장 낮았던 한국은 가장 높은 일본과 비슷해지는 것이다.

이외에도 2047년이 되면 전체 가구 중 여성이 가구주인 가구 비중이 2017년 30.4%보다 8.9%포인트(p) 늘어나 39.2%가 된다.

같은 기간 배우자가 있는 가구주는 14.6%p 감소하고 미혼자 가구주는 9.1%p가 증가한다. 저출산과 함께 미혼 추세도 더 심해지는 것이다. 여자 가구주 구성비를 보면 2017년에는 배우자 사별이 31.5%로 가장 많고 배우자 있음(26.2%), 미혼(23.7%)이 그 뒤를 따랐다. 하지만 2047년이 되면 미혼(29.2%) 비중이 가장 높아지고 사별은 오히려 24.6%로 적어진다. 가구주들의 나이가 많아지는데도 배우자가 사망한 사람보다도 애초에 결혼을 한 적이 없는 사람이 더 많아지는 상황이다.

(세종=뉴스1)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