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 잊어버려 실패” 시총 549조 기업서 물러난 마윈의 차세대 리더 양성 방식

베이징=윤완준 특파원

입력 2019-09-10 16:19 수정 2019-09-10 16:37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그룹의 창업자 마윈(馬雲·사진) 회장이 1년 전 약속한 대로 10일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면서 마 회장과 알리바바그룹 특유의 차세대 리더 양성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마 회장은 이날 오후 알리바바그룹 본사가 있는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의 대형 스타디움에서 열린 알리바바창립 20주년 및 자신의 은퇴 기념식에서 장융(張勇·47) 현 최고경영자에게 회장직을 넘겨줬다. 이날 스타디움에는 수만 명의 알리바바 직원이 몰렸다. 이날은 마 회장의 55세 생일이자 중국의 스승의 날이었다. 그는 영어교사 출신이다. 홍콩 명(明)보에 따르면 그는 이날 오후 3시 40분(현지 시간)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한나절을 일하지 않은 셈이라 회사 근무관리 규정에 따라 마 회장이 이달 개근상을 받지 못했다고 명보는 전했다. 특별 대우를 바라지 않는 마 회장의 풍모를 보여준다.

알리바바그룹에 따르면 마 회장은 9일 17명의 동료와 함께 자본금 50만 위안(약8400만 원)으로 20년 전 알리바바그룹을 창업했던 작은 아파트를 찾았다. 그는 “많은 사람과 기업들이 매출을 원하고 이익을 원하면서 꿈을 잊어버려 실패했다. 나는 알리바바가 꿈을 잊지 말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마 회장은 “알리바바의 모든 결정은 돈이 아닌 가치에 따라 이뤄진다”고 말한 바 있다. 알리바바그룹은 이 아파트를 팔지 않고 새로운 사업을 구상하는 베이스캠프로 삼을 것으로 알려졌다.

창업자에 대한 숭배 경향이 강하고 대를 이어 경영하는 중국 기업 풍토에서 55세 나이에 회장직에서 물러났을 뿐 아니라 시가총액 4600억 달러(약549조) 기업의 회장직을 외부 영입 인사에게 넘긴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마 회장의 후계자로 낙점된 장 CEO는 마 회장이 직접 영입한 회계 전문가다. 알리바바의 직원은 지난해 3월 말 기준 10만1958명에 달한다. 그는 지난해 주주와 직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능력과 에너지의 물리적 한계 때문에 회장이나 CEO를 영원히 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고 말했다. “내가 가장 하기 싫은 잘못이 내가 은퇴한 뒤 회사가 문 닫는 것”이라며 차세대 리더 양성을 강조한 적도 있다.

이 때문에 일찌감치 차세대 리더를 키우면서 미래를 준비해온 마 회장과 알리비바 특유의 정신이 주목받고 있다. 알리바바 소유의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마윈이 떠나는 것은 알리바바가 젊은 세대 리더들의 완전히 새로운 시대로 이행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마 회장의 친구이자 ‘알리바바 : 마윈의 지은 집’의 저자인 던컨 클라크는 “전문적 경영 자격, 기술 금융 기술이 없었던 마 회장이 장 CEO와 같은 재능 있는 전문가를 찾았다”고 말했다. 마 회장은 2013년 이미 알리바바그룹 CEO를 자리를 내놓았고 2015년 장융이 CEO가 됐다.


함께 기업을 경영하고 손실 등을 같이 책임지면서 차세대 리더를 키우는 알리바바그룹의 동업자 제도도 주목된다. 현재 알리바바그룹은 38명의 동업자가 있다. 그중 온라인 쇼핑몰 타오바오의 장판(蔣凡) CEO는 85년생이다. 알리바바그룹은 고위직에 오르면 후임 적임자를 찾고 교육시킬 것을 요구하고 이를 매년 업무 평가 중요한 척도로 삼는다.

마윈이 알리바바를 대표하는 얼굴이었던 만큼 마윈 없는 알리바바 시대가 열리면서 도전에 직면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장 CEO는 10일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알리바바의 사업 분야를 금융, 의료, 영화, 음악 등으로 확장시킬 수십개 가지 계획이 있다”고 말했다.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마 회장은 앞으로 교육과 자선사업에 매진하겠다고 밝혔지만 “기업가 정신은 멈추지 않는다”며 “회장에서 물러나는 게 은퇴를 뜻하는 건 결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 때문에 2020년까지 알리바바그룹의 이사회 이사로 있으면서 6% 지분을 갖고 있는 마 회장이 앞으로도 한동안 알리바바그룹에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편 홍콩 최대 갑부인 리카싱 전 CK허치슨홀딩스 회장(91)은 홍콩 정부가 젊은 시위대를 인도적으로 대하고 출구를 만들어줘야 한다고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8일 홍콩의 한 사찰에서 열린 법회에서 홍콩 시위에 대해 “홍콩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의 충격을 받았다”며 “집정자(정부)가 미래의 주인(젊은이)에게 출구를 제공해야 한다. 법률과 인정(人情)이 충돌하더라도 정치 문제는 양측이 역지사징해야 큰 문제를 작은 일로 바꿀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젊은 시위대들에게도 “대국을 이해하기를 바란다”고 말했지만 홍콩 정부에 젊은 시위대에 출구를 주라고 요구했다는 시위대의 폭력을 일방적으로 비난해온 다른 홍콩 재벌들과 다르다.

리 회장이 공개석상에서 홍콩 시위 관련 발언을 한 것은 처음이다. 리 회장이 지난달 “폭력을 중단하라”며 홍콩 신문에 게재한 광고도 중국 정부를 은연중에 비판했다는 해석이 나왔다.

베이징=윤완준 특파원zeitung@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