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첫 외신 인터뷰서 일본 무역보복 조치 강하게 비판

뉴시스

입력 2019-09-05 11:27 수정 2019-09-05 11:28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러 일간지 '이즈베스티야' 국제부 차장과 인터뷰
"日조치, 자의적·일방적…국제통상규범 명백히 위반"
"미·중 갈등에 韓수출 감소…신북방·남방 정책 추진"



제5차 동방경제포럼 참석차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방문 중인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취임 후 처음으로 외신과 인터뷰를 가졌다.

홍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일본의 무역 보복 조치가 국제 통상 규범을 명백히 위반했다며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5일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 4일 오후 6시께 홍 부총리는 러시아 일간지 ‘이즈베스티야’의 나탈리야 포르탸코바 국제부 차장과의 인터뷰에서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는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에 대한 무역 보복 조치로, 정당한 근거 없이 행해진 자의적 조치”라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한국에 대한 이 같은 일방적·차별적 조치는 세계무역기구(WTO) 협정 등 국제 통상 규범을 명백히 위반한 조치”라고 짚으며 “일본 정부의 이러한 조치가 한국 기업의 부담을 증가시키고 글로벌 밸류체인의 안정성을 저해시킬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대응 방안도 소개했다.

홍 부총리는 “산업계와 함께 일본 정부의 규제 시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을 각 수입 품목별로 면밀히 분석하고 있다”며 “특히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수입선 다변화와 이들 제품의 국산화 조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분야에서 한-러 공동 투자 펀드를 설립하는 것을 중요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한-러 공동 투자 펀드는 동방경제포럼에서 홍 부총리의 첫 공식 일정이었던 ‘한-러 경제·기업인 행사’(비즈니스 다이얼로그) 개회식 축사를 통해 밝힌 구상이다. 러시아는 원천기술 사업화를 통해 해외 판로를 확보하고 한국은 소재·부품·장비 수입 공급선을 다변화하는 데 자금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홍 부총리는 이 펀드가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의 한-러 간 경제 협력을 촉진하는 새로운 가치사슬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미·중 무역 분쟁이 장기화되면서 한국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언급도 있었다.
홍 부총리는 “한국 수출의 1, 2위 상대국인 중국과 미국은 한국 전체 수출 구조의 39%를 차지하고 있다”며 “미·중 무역 분쟁으로 수출 규모가 감소하는 등 한국 경제에 영향이 있다”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 발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수출 실적은 9개월째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다만 홍 부총리는 우리 경제의 대외 건전성이 양호한 상황이어서 다양한 외부 충격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땐 시장 안정화 노력과 함께 국가신용등급 등 대외 신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데도 만전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신북방·신남방 정책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경제 협력 파트너를 확대하고 수출 시장을 다변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번 포럼 방문을 계기로 유라시아 경제권 국가들과의 경제 협력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공동 펀드 신설과 더불어 유라시아경제연합(EAEU)과의 포괄적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촉진하겠다는 구상이다. 에너지·인프라 관련 사업의 시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디벨로퍼’(developer) 협의체를 구축할 필요성도 제기했다. 트루트네프 러시아 부총리 겸 극동연방구 특별대표와의 양자 면담에선 양국 간 구체적인 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하고 이번달 하순으로 예정돼 있는 한-러 경제공동위원회의 준비 사항을 짚는다.

홍 부총리는 “지정학적 정세, 법적 기반과 제도 미비 등 다양한 내외부적 요인에 의해 한-러 간에는 개발 가능성을 충분히 발전시키지 못했다”며 “한국 정부는 신북방정책을 우선순위 과제 중 하나로 삼고, 한-러 간 교역·투자를 획기적으로 확대하고자 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철도와 항만을 활용한 물류, 운송 프로젝트를 실행하는데 큰 가능성이 있고 7개 한국 기업이 연해주의 여러 프로젝트에 참여 중인 농수산업 분야에서도 협력 잠재력이 있다”며 “향후 여건이 조성된다면 북-러 접경 지역에서 농업, 어업, 관광 등 분야에서 다양한 협력 사업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