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사례…국회의사당 왼쪽에 들어선 건물 정체는?

동아일보

입력 2019-09-04 15:48 수정 2019-09-04 16:01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해질녘. 국회의사당의 둥근 초록색 돔에 조명이 켜진다. 국회 정문 왼쪽에 새롭게 들어선 수소충전소 건물의 반투명 유리 틈새로 은은한 하얀 불빛이 새어나온다. 주유소하면 떠오르는 붉은색, 노란색, 초록색의 형형색색 로고와 가격을 홍보하는 숫자들…. 그러나 국회 수소충전소에는 새하얀 캐노피(지붕 덮개) 말고는 어떤 외부장식도 찾아볼 수 없다.


10일 개소식을 갖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수소충전소는 세계 최초로 국회에 들어서는 수소충전소다. ‘규제 샌드박스’ 1호 사업으로 승인된 뒤 5월말 착공해 3개월 만에 공사를 마친 서울 내 첫 번째 상업용 수소충전소다.


국회 수소충전소는 단순하고 깔끔한 미니멀리즘 디자인으로 지어졌다. 수소탱크를 저장하는 메인 빌딩은 두꺼운 철근콘크리트로 지어졌고, 건물 외피는 저탄소 친환경 소재인 유글래스(U-glass)로 감쌌다. 반투명한 재질의 유글래스는 밤에 조명이 켜지면 부드러운 흰색을 뿜어낸다. 디자인을 맡은 건축가 임재용 OCA대표는 “안전을 고려한 육중한 콘크리트 건물이지만, 가볍고 경쾌한 디자인을 통해 맑고 깨끗한 청정 수소에너지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싶다”고 말했다.

전기충전소, 수소충전소…. 장기적으로 화석에너지를 친환경에너지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함에 따라 국내 주유소 풍경도 달라지고 있다. 주유소 업계가 정점을 이뤘던 2010년 12월 말 전국 영업 주유소는 총 1만2691곳. 이후 해마다 주유소는 줄어들어 2010년과 비교하면 1100곳 이상 문을 닫았다.


도심 주유소는 대로변의 좋은 위치에 자리 잡았는데도 300~400평가량의 넓은 부지를 갖고 있어 오피스텔이나 상가 건물로 신축하는 경우가 대부분. 그러나 대를 이어 주유소를 운영해온 경우에는 주유소를 포기하지 않고, 1층 주유소 지붕 위에 건물을 짓는 발상의 전환을 통해 다양한 변신을 꾀하고 있다.


서울 중구 장충단로의 서울석유사옥은 한국 1세대 건축가 고(故) 김수근의 작품인 경동교회 건물 바로 옆에 있다. 1, 2층에 주유소 위에 새로 올린 정방형 건물은 얇은 회색 철망이 씌워져 있다. 이 건물 내부 계단에서는 경동교회를 다양한 위치와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다. 붉은 벽돌과 담쟁이 넝쿨로 둘러싸인 경동교회가 무거운 침묵이라면, 건물 6~7층에 사선 형으로 유리관을 박아 외부와 내부를 개방한 이 건물은 공중에 떠 있는 듯 가벼운 느낌의 건축물로 어우러진다.

서울 관악구 봉천동 낙성대입구 교차로에 있는 한유그룹 사옥은 1~2층에 자리 잡은 셀프 주유소 위로 주변을 압도하는 스케일의 건물이 올라가 있다. 시시각각 음영을 달리하는 유리창이 돋보이는데다, 심장부에 사각형의 커다란 구멍이 뚫려 있어 사진 찍으러 오는 사람들도 많다. 건물 앞뒤의 풍경을 소통하게 하는 구멍에는 서로 다른 각도로 구름다리가 엇갈린다. 건물 내부 구름다리는 관악산의 경치를 볼 수 있는 최고의 조망대이기도 하다.

주유소는 이제 자동차에 기름을 넣고 세차도 하며, 식사를 해결하는 도시 속 새로운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 서울 서초구 양재동 교육개발원 입구사거리에 있는 SK주유소 건물은 회오리치듯 사선 띠가 3층 위부터 올려져 행인들의 눈길을 끌어당긴다. 1층에 주유소와 패스트푸드 드라이브 스루가 들어섰고, 상부 층은 사무실 식당 갤러리 등으로 사용하는 복합문화공간이 됐다.

전승훈 문화전문기자raphy@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