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싱크탱크 ‘금융연’, 올 성장률 전망 2.4%→2.1%로 또 낮춰

뉴시스

입력 2019-08-13 16:21 수정 2019-08-13 16:33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한국금융연구원이 올해 경제성장률을 당초 예상했던 2.4%에서 2.1%로 하향 조정했다.

금융연은 13일 발표한 ‘2019 하반기 경제전망’을 통해 “우리 경제는 대외여건이 악화되는 가운데 소비, 투자 등 민간 부문의 회복도 지연됨에 따라 올해 중 2.1%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 5월 전망보다 0.3%포인트 내려잡은 수치다.

성장률을 내려 잡은 배경으로는 국내 수출 및 투자의 회복 지연, 상반기 민간 부문의 경제 지표 부진 등을 꼽았다.

금융연은 “민간소비는 상대적으로 안정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내구재 소비 부진 및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심리 악화 등이 민간소비 성장률을 제약할 것”으로 내다봤다.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건설 위주의 하락세가 올해까지 이어지고 설비투자는 지난 2017년 반도체 산업 위주의 대규모 설비투자가 일단락 된 영향으로 감소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 대내외 교역 관련 불확실성 증대로 기업들이 투자에 소극적일 것으로 판단됐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민간소비 증가율은 올해 2.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로 인해 경기회복이 지연되면서 증가율이 제한될 것이란 예상이다.

설비투자는 -5.3%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반도체 경기 하락에 따른 설비투자 증가 제한 등으로 전체 설비투자 증가율이 둔화될 것이란 분석이다. 또 무역분쟁 심화로 수출 정체가 예상되는 점도 설비투자 증가율을 제한할 것으로 판단됐다.

건설투자 증가율도 -4.1%로 예상됐다. 공공주택, 환경 및 안전, 신재생에너지 분야 투자 등 공공 건설투자가 예년 대비 높아질 것으로 보이지만 민간의 주거용 건물건설 위주의 감소세에 따라 전체적 건설투자가 부진할 것이란 판단이다.

올해 취업자 수는 전년대비 평균 19만명 증가하고 실업률은 3.9%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다. 정부의 일자리 지원 확대 및 소득지원 정책, 외국인 관광객 수 회복 등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고용상황을 개선시키겠지만 제조업황 부진, 건설업 경기 조정 등이 증가세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6%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국제유가, 농축수산물 가격 등 공급측 요인이 물가상승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또 경기둔화로 사회취약층 지원을 위한 정부의 복지정책이 강화되고 주택가격도 향후 불확실성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이어갈 것으로 보여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인 2.0%에 크게 미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국고채 3년물 평균금리는 지난해 2.1%보다 상당폭 하락한 1.5%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우리나라 국고채 금리는 상반기 실물경기 둔화 및 한은 기준금리 인하 효과로 인해 하락했다는 설명이다.

경상수지는 흑자 기조를 이어가겠지만 흑자폭은 608억 달러로 지난해의 764억 달러에 비해 상당폭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통관기준 수출은 8.9%, 수입은 4.3% 줄어들며 통관기준 무역수지는 384억 달러 흑자가 예상된다.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전년에 비해 상승한 1172원 수준으로 전망됐다.올 상반기 경제지표 부진, 미중 무역분쟁 격화 등으로 원달러 환율이 급상승한 가운데 최근 기준금리 인하와 한일 갈등 대두 등으로 하반기에도 상승요인이 잔존한다는 진단이다.

금융연은 “올 하반기에도 대외여건의 불확실성이 우리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겠으나 확장적 통화정책 및 재정정책 등 정부정책에 힘입어 하반기 우리경제는 전년동기대비 2% 초반대의 성장률을 나타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장기화되고 있는 미중 무역협상 및 기술분쟁, 일본의 우리나라에 대한 수출 규제 등에 따른 불확실성은 우리나라의 투자 및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또 수출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 수요회복이 예상보다 지연되고, 최근 교역 불확실성에 따라 일부 기업의 하반기 감산이 예상되는 점은 경제성장에 하방 요인”이라고 짚었다.

아울러 금융연은 확장적 통화 및 재정정책의 조합이 중요하다는 제안도 내놨다.

금융연은 “민간 부문 회복이 예상보다 지연되고 대내외 불확실성이 크게 높아진 시점에서는 경기 하방압력 완화, 경제주체 심리 악화 방지 등을 위해 경기대응에 무게를 두는 통화정책 운용이 바람직하다”며 “다만 통화정책 확장적 기조가 지속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주택시장 불안 및 가계부채 증대 등 금융불안정 위협은 금융정책당국과 협력해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재정정책은 확장적 기조를 견지하는 가운데 단기적 성장 지원뿐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우리 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을 병행해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