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이후 실직하면 쭉 실업자 가능성 높아졌다

뉴스1

입력 2019-07-11 09:42 수정 2019-07-11 09:42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뉴스1
© 뉴스1

금융위기 이후 취직하면 계속 취업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커진 반면 실직하면 실업 상태에서 벗어나기 어려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은행의 조사통계월보 6월호에 실린 ‘노동이동 분석: 고용상태 전환율을 중심으로’에 따르면 2000~2018년 평균적으로 취업자 중 0.9%(22만명)는 그 다음 달에 실업자가 됐고, 2.8%(67만명)는 은퇴 등으로 비경제활동인구로 전환됐다.

이는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해 2000~2018년 중 평균 고용상태 전환율을 추정한 결과다.

또 평균적으로 실업자 중 31.6%(28만명)는 그 다음 달에 취업자, 16.9%(15만명)는 비경제활동인구가 됐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5.5%(84만명)는 그 다음 달에 취업자, 1.8%(28만명)는 실업자로 바뀌었다.

특징적인 점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고용상태 간 노동이동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는 것이다.

2000~2009년 ‘실직→ 취직’ 전환율은 28.2%였지만, 2010~2018년은 25.6%로 낮아졌다. ‘취직→ 실직’ 전환율도 각각 1.0%, 0.8%로 낮아져 고용상태 전환이 어려워졌음을 나타냈다.

보고서는 “취직하면 계속 취업 상태일 가능성이 커졌지만, 실직하면 실업 상태에서 벗어나기 어려워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취직률(실업→취업)은 금융위기 이후 계속 하락하면서 기업의 고용창출 능력이 약화되는 모습이었다”며 “실직률(취업→실업)은 금융위기 이후 하락세를 보였으나 최근에는 추가 하락 없이 등락을 거듭하고 있었다”고 분석했다.

장기시계(1986~2018년)에서 실업률 변동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실직률이 실업률 변동의 55%를 설명하면서 취직률 기여도(12%)를 큰 폭으로 상회했다.

보고서는 “금융위기 이후 노동이동이 둔화된 것은 경기진폭 둔화와 고학력 노동자 증가, 생산설비의 세계화 등 경제구조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데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요 문헌에서는 노동이동을 통한 고용 재배치가 노동생산성과 정(+)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했다”며 “노동이동 둔화는 앞으로 노동생산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