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 빅3, 해외 수주잔고만 3조원…고마진 수출 ‘총력’

뉴스1

입력 2019-04-03 11:02 수정 2019-04-03 11:04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한화·LIG넥스원 사상 최대 해외 수주잔고 기록
정부규제로 내수 매력 줄어…꾸준히 신시장 개척


© News1

국내 방산업계 빅3의 해외 수주잔고가 3조원을 넘어서며 사상 최대 수준에 이르렀다.

정부의 과도한 규제 속에 내수 시장에선 활로가 없다고 판단해 높은 마진을 기대할 수 있는 해외 시장을 꾸준히 개척한 덕이다. 주력 개척시장은 아시아·태평양과 중동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국항공우주(KAI), LIG넥스원의 지난해 말 기준 방산 부문 해외 수주 잔액은 3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100% 자회사 한화디펜스는 역대 최고 수준인 9832억원의 수주 잔액을 확보했다. KAI는 완제기 수출로만 8259억원의 수주 잔액을 기록했다. 사상 최대 규모인 5조6507억원의 수주잔고를 쌓은 LIG넥스원은 1조5000억원 내외가 수출 물량인 것으로 증권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2001년부터 K9 자주포를 앞세워 꾸준히 수출 실적을 늘린 한화디펜스는 지난해에도 에스토니아와 터키 후속 물량 등을 신규 수주했다. LIG넥스원은 지난해 중동과 중남미, 아시아 등 신규 시장에서 신규 수주를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KAI는 항공기 부품 수출에 집중하면서 완제기 수주잔고가 연초(9351억원) 대비 줄었다.

방산업계의 수출이 대폭 늘어난 이유는 내수 시장이 정부의 예산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취약한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어서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17년 국내 10대 방산업체의 수출 비중은 16%밖에 되지 않는다.

한정된 방위 예산을 바탕으로 국내 업체들이 경쟁하는 구조다 보니 영업이익률(2016년 기준)은 3.3% 수준으로 일반제조업에 비해 낮다. 특히 최저가 입찰제가 적용되는 입찰 경쟁 과정에서 정부가 설정한 예산보다 낮은 가격을 제시하며 적자를 보는 기업들도 많다.

여기에 과도한 성능요구조건(ROC)과 막대한 지체상금(납품지연 배상금), 불합리한 원가 산정 등 정부의 지나친 규제도 방위산업의 수익성을 가로막는다고 업계는 입을 모은다.

업계 관계자는 “내수시장은 정부를 상대로 하다 보니 업계에 불리한 조건들이 고쳐지지 않고 있고, 평화무드로 재래식 무기에 대한 수요도 줄어 업계 전체가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방산업계가 살아날 수 있는 유일한 활로가 수출”이라고 설명했다.

내수의 경우 방산원가 산정 기준에 따라 매출 총이익률이 9~16% 제한되는 반면 수출은 해당 국가와의 협상에 의해 가격이 결정돼 고마진을 노려 볼 수도 있다.

각국의 방위비 지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여 글로벌 시장에서 기회는 많다. 미국 포캐스트 인터내셔널(Forecast International)이 지난달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부터 향후 4년간 전 세계 방위비 지출은 연 평균 3.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도 국내 방산업체들은 아시아·태평양은 물론 중동까지 수출의 활로를 넓힐 계획이다. 이봉진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KAI는 이라크,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아랍에미리트(UAE)·인도 등과 무기수출을 협상하고 있다”며 “LIG넥스원, 현대로템, 한화 등도 중동국가를 대상으로 협상이 진행중이어서 올해 중 가시적인 성과가 나나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방산 3사 업체의 해외수출 확대는 개발된 무기들을 성능 개량해서 내보내는 방식이다. 따라서 우리 정부가 최대한 국내 무기를 더 많이 쓸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면 수출량을 더 늘릴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를 위한 제도로는 최고가치 낙찰제 도입 등이 거론된다.

방산업체 관계자는 “수입 국가가 가장 먼저 보는 사안은 해당 제품을 수출국에서 대거 도입해 성능검증을 받았는지 여부”라며 “정부가 국내 개발 무기를 쓰면 쓸수록 해외수출에 유리한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