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 총파업,조합원 99만명중 3200명 참여

유성열 기자 , 박은서 기자

입력 2019-03-07 03:00 수정 2019-03-07 03:00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국회앞 탄력근로 저지 결의대회, 현대-기아차 등 노조간부 위주 참석
구호소리 작아 주변서도 잘 안들려
지도부 전국 돌며 독려했으나 조합원들 명분없는 정치파업 외면
“강경파에 휘둘려 리더십 상실” 지적


“총파업으로 노동법 개악(改惡) 막아내자!”

구호는 거창했지만 위력은 미미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은 6일 오후 4시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탄력근로제 확대 철회 등을 요구하는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었다. 그러나 집회 참가 인원이 민노총 자체 추산도 3000명에 불과했다. 1만 명이 참여한 지난해 11월 총파업 때와 비교하면 3분의 1로 쪼그라든 셈이다.


○ ‘뻥파업’으로 끝난 총파업


김명환 민노총 위원장은 이날 “적폐세력 끌어내리고 재벌 개혁 정부를 만들었더니 적폐청산은커녕 재벌 청부입법을 관철하고 있다”며 현 정부를 비판했다. 특히 민노총 지도부는 한국노총이 참여해 탄력근로제 확대에 합의한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를 집중 공격했다.

하지만 집회 구호 소리는 주변에서도 들리지 않을 정도로 작았다. 참가 인원 자체가 적은 데다 전국을 강타한 미세먼지로 마스크를 쓴 조합원이 많았던 탓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이날 총파업에 참여한 인원도 전국 30여 개 사업장에서 3200여 명에 그쳤다. 민노총 전체 조합원(자체 집계 약 99만 명)의 0.3%에 불과한 인원이다. 민노총이 올해 처음 벌인 총파업이 역대급 ‘뻥파업’으로 끝났다는 말까지 나온다.

이번 총파업에는 현대자동차(600명)와 기아자동차(540명), 대우조선해양(400명) 등이 참여했지만 대부분 노조 간부들이어서 공장은 평소처럼 가동됐다. 이 회사 노조들도 사실상 총파업에 불참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게 정부 시각이다. 또 총파업에 참여한 나머지 사업장들도 임금 및 단체협상 결렬 등 개별적 노사분규에 따른 것으로 총파업에 동참했다고 보기 어렵다.


○ “대화와 투쟁 모두 실패”


민노총의 이런 ‘뻥파업’은 예고된 수순이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2017년 6월 비정규직 처우 개선을 내건 ‘사회적 총파업’에는 약 2만 명이 참여했다. 지난해 11월 최저임금 속도 조절에 반대하는 총파업에는 약 9만 명이 참가했다. 하지만 이때도 7만7000명(85.6%)이 현대·기아차 소속이었고 그마저도 2시간 부분파업이었다. 민노총이 현 정부 들어 시도한 세 차례의 총파업 모두 ‘엄포’에 그친 것이다.

민노총 현 지도부는 ‘대화와 투쟁의 병행’을 내세우며 2017년 12월 출범했다. 경사노위 참여를 강하게 추진하는 동시에 강경 투쟁도 병행한다는 논리였다. 하지만 강경파의 힘에 밀려 경사노위 참여는 좌절됐다. 그러자 곧바로 강경 투쟁으로 태도를 바꿨지만 민노총 조합원 대부분은 명분 없는 정치파업에 동참하기를 꺼렸다. 지도부가 전국을 돌며 파업 참가를 독려했음에도 조합원들이 움직이지 않은 것이다. 이 때문에 민노총 내부에서도 지도부의 리더십이 붕괴됐다는 비판이 나온다. 대화와 투쟁 노선 모두 실패했다는 얘기다.

민노총 산하 보건의료노조의 한 조합원은 “지도부가 파업을 한다고 해서 무조건 동참하는 것은 철 지난 관행”이라며 “정부 정책은 무조건 반대하는 강경파와 지도부의 행태에 상당수 조합원이 염증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노동계의 한 인사는 “강경파의 힘에 굴복한 지도부가 현장 여론을 제대로 읽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올해 첫 총파업이 무위로 끝나면서 올해 예고한 나머지 3차례 총파업도 힘을 얻지 못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유성열 ryu@donga.com·박은서 기자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