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교통신호 제어-24시간 방범 서비스… 국내 스마트기술, 쿠웨이트-印-볼리비아로

주애진기자

입력 2018-11-08 03:00 수정 2018-11-08 03:00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2003년 ‘유비쿼터스 도시’ 시작
세계 최고 수준 ICT 인프라 갖춰… 신규서비스 막는 각종 규제 한계


쿠웨이트의 압둘라 신도시, 인도의 칼리안-돔비블리 신도시, 볼리비아의 산타크루스 신도시.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시티로 조성되고 있는 이 3곳의 공통점은 한국의 스마트시티 기술이 적용됐다는 것이다.

7일 열린 ‘2018 동아 건설·부동산 정책포럼’에선 수출상품으로서 한국형 스마트시티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다양한 사례가 소개됐다.

한국형 스마트시티 수출 1호로 꼽히는 압둘라 신도시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국내 기업들이 마스터플랜과 실시설계 용역을 맡고 있다. 지능형 교통시스템, 스마트에너지시스템 등 그간 국내에서 시범사업으로 도입됐던 스마트 기술을 한꺼번에 선보일 예정이다. 산타크루스에서는 폐기물 처리 및 에너지화 시설, 칼리안-돔비블리는 첨단 상수도시설과 친환경 처리시설 등의 스마트 기술을 접목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조영태 LH토지주택연구원 스마트도시연구센터장은 사례 발표를 통해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 인프라를 보유한 데다 건축, 플랜트, 수자원, 도로교통 등 많은 스마트시티 분야에서 기술력을 갖고 있다. 우리가 가진 도시개발 노하우와 스마트시티 기술을 결합한 신도시 개발과 도시 운영 패키지 모델이 우리의 경쟁우위”라고 했다.

한국에서는 2003년부터 유비쿼터스 도시(U-시티)라는 이름으로 초기 스마트시티 사업이 시작됐다. 윤정일 포스코건설 건축기술지원그룹장은 인천 송도의 스마트시티 개발 사례를 소개했다. 송도는 U-시티 시범도시로 선정돼 2009∼2014년 국비 47억 원과 인천시가 39억 원을 들여 스마트기술을 구축했다. 통합운영센터를 중심으로 실시간 교통신호 제어 서비스, 24시간 방범 서비스, 대기·수질 등 환경정보 서비스를 도입했다.

송도의 사례는 국내 스마트시티의 한계도 보여준다.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 수준은 뛰어나지만 각종 규제로 민간 서비스 활용이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어서다. 일례로 헬스케어 분야는 법적 문제로 원격진료가 불가능해 사업 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윤 그룹장은 “스마트시티를 성공적으로 구축하려면 공공과 민간의 유기적 협력이 필요하다. 기술 발전 속도에 맞춰 신규 서비스 창출 기회도 부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스마트시티에 필요한 자율주행과 통신기술도 소개됐다. 김영락 SK텔레콤 뉴모빌리티 TF장은 “스마트시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자율주행 기술이 필요하다”며 “5세대(5G) 통신기술 등을 자율주행에 접목해 도시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주애진 기자 jaj@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