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종구의 100세 시대 건강법]미국 명문대 ‘아이비리그’는 평생건강의 선순환을 만든다

양종구기자

입력 2018-08-26 11:25 수정 2021-01-23 10:30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사진=픽사베이


미국에 가면 흔히 볼 수 있는 장면이 있다. 언제 어디서든 달리는 사람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사람들은 왜 이렇게 시도 때도 없이 달릴까. 필자는 미국의 교육시스템에서 그 원동력을 찾았다.

국내에서는 미국의 아이비리그에 대해서 다소 혼동하는 점이 있다. 아이비리그는 미국 동부 유명 사립대학교 간의 스포츠 교류 리그다. 우리나라에서는 사실상 ‘명문대’를 지칭하는 의미로만 쓰이고 있지만 그 시작은 스포츠이며 지금도 아이비리그는 스포츠리그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아이비리그는 1945년 하버드 예일 브라운 컬럼비아 펜실베이니아 코넬 다트머스 프린스턴 등 8개교가 1년에 한 번씩 미식축구를 한 것이 역사의 시작이었다. 1954년 모든 스포츠로 확대되며 아이비리그가 탄생했다. 현재는 남녀 30개가 넘는 종목에서 매년 8000여 명의 선수가 경기를 벌인다.

▶양종구 기자페이지 바로가기. 양기자의 더 많은 글을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의 명문 사립대학들은 전통적으로 스포츠를 중시한다. 하버드대는 신입생을 뽑을 때 학업 성적 외에도 과외활동, 품성 및 인성, 운동 능력 등 4가지 분야를 평가한다. 특히 중고교 시절 스포츠 선수로 활동하며 주장을 맡은 학생에게 후한 점수를 준다. 리더로서 갖춰야 할 기본을 스포츠를 통해 습득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다른 학교도 마찬가지다. 리더십과 협동심, 성실성, 사회성, 인내력 등을 스포츠를 통해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이 학교들의 공통된 인식이다.

스포츠는 인간 본성을 잘 억눌러주며 긍정적인 방향으로 표출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스포츠(운동)가 인간에 어떤 영향을 줄까. 김병준 인하대 교수(스포츠심리학)는 “스포츠를 하다 보면 다양한 상황이 나온다. 경기 중에는 용기를 발휘해 밀고 나가야 할 때와 과감히 포기해야 할 때가 있다. 서로 협력해야 할 때도 있다. 상황에 따라 선택을 하고 결정을 해야만 한다. 이런 게 리더십 등 인간의 인성을 키워준다”고 말한다.

사진=픽사베이


스포츠는 자존감도 키워준다. R J 손스트룀과 W P 모건은 1989년 신체 능력 향상이 자존감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모형을 개발했다. 그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벤치프레스의 무게를 올리면서 운동을 시키는 실험을 통해 근육이 생기고 힘이 좋아질수록 자존감이 상승했다는 결과를 얻었다. 케네스 폭스는 이 모델을 더 발전시켜 1990년 스포츠 유능감과 근력, 지구력, 외모가 신체적 자존감을 상승시켜 결국 전체적인 자존감 상승으로 이어진다고 분석했다. 김경원 서원대 교수는 2003년 ‘규칙적인 운동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이란 논문에서 12주간 운동한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을 비교한 결과 운동한 그룹의 자존감 향상이 눈에 띄었다고 밝혔다.

중요한 것은 아이비리그 대학을 포함해 미국의 대학들이 이렇게 스포츠를 강조하고 있는 게 미국 사회 전체에 ‘평생건강의 선순환 사이클’을 만들고 있다는 점이다. 아이비리그에 학생을 많이 보내는 명문 고교들도 스포츠를 필수 과목으로 정해 인성교육의 한 축으로 활용한다. 당연히 초중학교도 마찬가지다. 아이비리그를 졸업한 학생들은 사회에 나와서도 스포츠를 즐긴다. 고등학교 때부터 농구를 즐기며 하버드 로스쿨을 졸업한 버락 오바마 전 미국대통령은 지금도 농구로 건강을 다진다. 예일대 야구팀 출신 조지 부시 시니어 전 미국대통령도 야구를 평생 즐겼다. 김병준 교수는 “스포츠를 통해 몸을 건강하게 해 정신적인 탁월함까지 만들어내는 교육철학은 미국을 이끌어 가는 힘이다. 미국에서 창의적인 도전이 계속 되는 배경에 스포츠를 통한 충만한 에너지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 어떤가. 소위 ‘입시’라는 명목에 대학은 물론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에서도 스포츠 및 운동은 경시되고 있다. 공부를 위해 학교 정규수업인 체육시간까지 희생하고 있는 형국이다.

100세 시대엔 대학에서 배운 지식을 20년도 못쓴다고 한다. 주기적인 재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사회생활을 하다 재교육을 받고 다시 새로운 도전에 나서기 위해선 건강이 중요하다. 이젠 국내 대학도 공부만이 아닌 스포츠를 강조하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100세 시대를 대비해야 한다. 속칭 국내 명문대의 상징인 SKY(서울대 고려대 연세대)가 스포츠를 강조하면 미국의 아이비리그가 만들어내는 ‘평생건강의 선순환’을 만들어낼 수 있지 않을까.

양종구 기자 yjongk@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